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논산군 노성면 하도1리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종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종기 |
지역개관 | 노성은 군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노성산(魯城山, 384m)이 상월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지형이 일반적으로 낮은 구릉지대로 되어 있다. 가곡, 교촌, 구암, 노치, 둣, 병사, 송당, 읍내, 장구, 죽림, 하도, 화곡, 호암, 효죽 등 14개 동리가 있다. 하도리는 3리로 이루어졌는데, 1리는 승작골, 2리는 대추마루, 3리는 욕골이라 부른다. 90년 노성면에 노성농악회가 결성되어 활동을 해 오고 있는데, 농악 회원은 주로 하도리 주민이 많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일에 충청남도 논산군 논산읍 하도1리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종기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우여러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이 집터가 우여러 차하 명기를 받을 적에 우여러 차하 계룡산 상상봉에1) 우여러 차하 명기가 비쳤네 우여러 차하 천하지 대명당에2) 우여러 차하 이 곳에 와 떨어졌네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이 집을 짓구나서 우여러 차하 자손을 번성할 적에 우여러 차하 아들을 팔 형제 두고 우여러 차하 한 서당에 글을 읽혀 우여러 차하 팔도감사 다 나간다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차 소리나면 우여러 차하 번쩍 들었다가 우여러 차하 콰광쾅 찝시다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계룡산 상상봉에 우여러 차하 에로이 선나무 우여러 차하 이 몸과 같이도 우여러 차하 에로이 서 있네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리 농군님네 우여러 차하 대간도 하시고3) 우여러 차하 목덜도 마르신데 우여러 차하 탁주어 일배씩을 우여러 차하 드시고 또 합시다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우여러 차하 1)상상봉(上上峰): 높이 솟은 봉우리. 2)천하지 대명당(天下之 大明堂): 풍수학에서 나온 말로, 그 자리에 묘를 쓰면 후손이 부귀영화를 누린 다는 자리. 3)대간도 하시고: 고단도 하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