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당진군 송악면 월곡리 달아실의 논매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병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병호 |
지역개관 | 월곡리는 다라실이라는 자연마을 이름이 한자화한 것이다. 동네 입구에는 수 백년 된 은행나무가 있는데 해마다 정월에 흰무리떡을 해 놓고 제사를 지냈고, 정월 대보름부터 이월 초하루 날까지 볏가리를 세우고 쓰러뜨리기를 하였다. 최근까지도 당제를 지냈는데, 송산마을에는 큰마누라 당집이 있고, 내도리에는 신랑 당집, 한진에는 작은 마누라 당집이 있으며, 주로 어부들이 정월 용날(辰日)에 당에 치성을 드리고 배를 탔다고 한다. 내도리 신랑 당집은 95년 봄에 불에 타 없어졌다. 논농사 위주이고 감자와 완두콩을 많이 심으며, 동네에서 콩나물 공장을 운영하는데, 부인들은 이곳에서 많은 일을 한다. 월곡부녀농악단이 5년 전에 만들어져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 4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월곡리 달아실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병호가 참여하였다. 호미로 여름 땡볕에 논을 매는 작업은 매우 힘든 노동이다. 한 낮의 폭염이 조금 꺽이는 오후 3-4시가 되면 작업의 지루함을 달래고, 능률을 올리기 위해 소리를 시작한다. 힘든 작업에 병행된 소리는 힘있는 소리를 하게 마련이다. 호미로 논을 매면서 느린 소리부터 잦은 소리까지 덩어리소리를 부르며 논을 맨다. |
가사 | 얼카덩어리
어하덩어리 질쭉잘쭉에 갈치뎅이로1) 뜹시다 어하덩어리 얼카덩이호 어하덩어리 높은 디는 떠서 얕은 디루 파냅시다 어하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씨구나 좋다”) 어하덩어리 몬들 가락으로 총총 걸어 봅시다 어하덩어리 얼카덩어리 어하덩어리 얼카뎅이 얼카뎅이 질쭉잘쭉이 얼카뎅이 갈치뎅이로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몬들 가락에 얼카뎅이 질쭉잘쭉 얼카뎅이 넘어나 봅시다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어하뎅이여 이--- 1)갈치뎅이: 갈치모양의 덩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