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대치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의 만선풍장소리-대치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동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동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는 서산 삼길포에서 배를 타고 30분쯤 걸리는 곳에 있는 섬으로 관광객들이나 낚시꾼들이 많이 들락거리는 마을이다. 해당화 군락이 유명하며, 해수욕장이 있다. 예전에는 당굿이 있었으나, 교회가 들어온 이후로 하지 않는다. 생업은 논농사와 굴, 바지락, 게를 주로 잡고 대하양식장도 있고 염전도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5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서 채집한 대치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동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일반적으로 배치기라고 하는 데 가창자는 대치기라 부른다. 그물을 올리고 술 한잔 먹고 춤추며 놀 때, 뱃고사 지내고, 조기잡고 팔어서 돈 실고 올 때 대치기를 한다고 한다. 주로 어떤 일이나 놀이와 연관되어 놀 때 많이 했다고 한다. |
가사 | 에에헤헤에에요허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연평 칠산 다 부러먹고1) 오양두 밖이서 만장만 냈단다 아아아앙 아아아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오동추야 달밝은 밤에 고기잡기두 자미가 났단다 아아 어어어어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에에헤에헹 에 어허어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칠산 바다 연평바다 다 부러먹고 용매들로2) 들어선단다 아아하 아하아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에에헤에헹 어허어야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이내 동산님3) 궁둥춤 잘춘다 아아하 아하아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아 아아아 하 어헝 어헝 어허어야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앞바다에는 실안개 끼고 갈매기 떼만 날아든다 아항 어허 어허허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청천 하날에 잔 별도 많은데 정든 님 생각이 저절로 나는구나 어헝 어헝 어허어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하늬4) 마파람일랑 불지를 말고 고향땅 가게 하늬 바람이나도 불어나 달란다 아하 에 에헤에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에에헤에헹 에에 헤야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에에헤에헹 에에 어허어요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가막개5) 아씨들 저 술만 내둘린다 아 작별의 인사를 나누는구나 에헹 에헹 에헤헤여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에헹에 에헤헤야 에에헤헤에헤 에헤에야 1)부러먹고-> 벌어 먹고 2)용매들: 연평도와 강화도 사이에 있는 섬. 주로 오젓이나 육젓을 잡으러 갔다. 연평도에는 조 기를 잡으러 가고 강화도에는 민어를 잡어러 다녔다. 3)동사: 뱃일 하는 사람. 뱃일은 주로 일곱명이 했다. 사공, 영좌(제일 나이 많은 사람), 동사 두명, 주동무(주방일하는 사람으로 화장 뒤를 봐준다), 화장(밥 하는 사람), 선주. 4)하늬: 잘 못 불렀음. 5)가막개: 연평도 건너 구월산 밑에 있는 지명. 대동강 근처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