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기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의 고기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동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동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는 서산 삼길포에서 배를 타고 30분쯤 걸리는 곳에 있는 섬으로 관광객들이나 낚시꾼들이 많이 들락거리는 마을이다. 해당화 군락이 유명하며, 해수욕장이 있다. 예전에는 당굿이 있었으나, 교회가 들어온 이후로 하지 않는다. 생업은 논농사와 굴, 바지락, 게를 주로 잡고 대하양식장도 있고 염전도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5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서 채집한 고기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동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그물을 올릴 때 마게를 감아서 올린다. 그물은 닻을 내리고 닻에 줄을 묶어 바다에 놓고 고기가 잡히면 불뚝(그물)이 떠오른다. 고기가 많이 잡히면 그 위를 걸어 다닐 수도 있다. 그물을 올리고 잡힌 고기를 배에 퍼 실으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어이혀라 바디햐
어이혀라 바디여 바디여 소리를 맞춰를 가며 어이혀라 바디여 줄 일랑을랑 잘 땅겨주게 어이혀라 바디여 청천 하늘에는 잔 빌도 많고 어이혀라 바디여 고기잡기가 자미가 난다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햐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혀 어이혀라 바디여 영편1) 칠산을 다 더듬어 먹고 어이혀라 바디여 오양도 밖이서 만장을2) 들여보자 어이혀라 바디여 어여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어여라 바디야 어이혀라 바디여 철뜨러쿵 철뜨러쿵 허더니 어이혀라 바디여 또 한 망태기 올러온다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저 하날에는 달도 뜨고 어이혀라 바디여 고기잡기가 흥취가 나네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혀 어이혀라 바디여 오늘 잡고 내일도 잡고 어이혀라 바디여 붕기3) 질르게 잡어나 보세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야 어이혀라 바디여 팔딱꿍 팔딱꿍 뛰는 저 조기는 어이혀라 바디여 한 마리 두 마리 모여들어 어이혀라 바디여 한 그물로 채주었네 어이혀라 바디여 바디여 소리를 맞춰를 가며 어이혀라 바디여 줄일랑은 잘 땅궈주게 어이혀라 바디여 어여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영자님4) 일랑은 뒷 그물 주소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주동무는5) 들어가서 막걸리상 봐라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여 빨리 빨리 퍼올려 놓구서 어이혀라 바디여 막걸리 한잔 먹으세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야 어이혀라 바디여 바디야 소리를 맞춰를 가며 어이혀라 바디여 빨랑 빨랑도 퍼올리세 어이혀라 바디여 어혀러도 바디로구나 어이혀라 바디여 어이혀라 바디야 어이혀라 바디여 ( “야 우리 이제 막걸리 한잔 먹고 하세“ ) 1)영편: 연평도. 2)만장: 만장이. 큰 나무로 만든 배인 듯. 3)붕기: 고기를 가득 잡아 만선이 되었을 때 붕기를 꽂음. 4)영자님: 영좌님. 5)주동무: 배에서 밥을 짓는 사람 중 우두머리. 화장을 약 3년 정도 하고나면 주동무가 된다 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