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동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동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는 서산 삼길포에서 배를 타고 30분쯤 걸리는 곳에 있는 섬으로 관광객들이나 낚시꾼들이 많이 들락거리는 마을이다. 해당화 군락이 유명하며, 해수욕장이 있다. 예전에는 당굿이 있었으나, 교회가 들어온 이후로 하지 않는다. 생업은 논농사와 굴, 바지락, 게를 주로 잡고 대하양식장도 있고 염전도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5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동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상여를 들어 매거나 내릴 때 엉셔 엉셔를 한다. |
가사 | <상여 매는 소리>
엉 셔 엉 셔 엉 셔 엉 셔 엉 셔 엉 셔 엉 셔 엉 셔 셔- 셔- 엉 셔 <행상소리>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황천길이 멀다더니 어- 허- 어- 허 대문밖이가 황천이구나 어- 허- 어- 허 어 허 허허 허 어- 허- 어- 허 일가 친척이 많다구해도 어- 허- 어- 허 나 가는 길은 못가느니라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삼라만상을1) 이뤄진 세상 어- 허- 어- 허 인간으로 태어났다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명사십리 해동화야 어- 허- 어- 허 꽃이 진다구 설워를 마라 어- 허- 어- 허 명년 이 때도 춘삼월이며는 어- 허- 어- 허 너는 다시도 피거니와 어- 허- 어- 허 우리네 인생은 한 번 가면 어- 허- 어- 허 또 다시는 못오느니 어- 허- 어- 허 어- 허- 허- 어 어- 허- 어- 허 기나긴 세월을 넘기도 했는데 어- 허- 어- 허 황천길은 왜 이다지도 바쁘냐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나드니 어- 허- 어- 허 심심 침야2) 잠들어 있구나 어- 허- 어- 허 고요 명월 달도 밝은데 어- 허- 어- 허 심야 밤 깊은 고개 침숙인이로구나3) 어- 허- 어- 허 수풀 속 손님이 잠들어 있네 어- 허- 어- 허 어- 허- 어어어허- 어- 허- 어- 허 황중에 나는 저 백조야 어- 허- 어- 허 너두 나를 잃은 듯이 어- 허- 어- 허 훨훨 날어서 어디로 가느냐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어- 허 <상여 내리는 소리> 어셔셔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엉셔 셔- 엉셔 1)삼라만상(森羅萬象):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현상. 2)심심(深深) 침야(沈夜) : 깊고 깊은 밤을 의미하는 듯. 3)침숙인(沈宿人): 자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