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당진군 송악면 봉교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병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병기 |
지역개관 | 봉교리(鳳橋里)는 봉학재마을과 방아다리 두 마을로 되어 있다. 봉학재마을은 봉과 학이 날아 왔다 갔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봉학재마을은 전주 이씨 집성촌이고, 70호가 산다. 봉학재에서는 지금도 정월 대보름날 마을 샘에 떡과 막걸리․북어포를 놓고 샘제를 지내는데, 이 때 볏가릿대를 세웠다가 2월 초하룻날 자빠뜨린다. 특히 윤달이 든 해에는 더욱 크게 한다. 논과 밭의 비율은 1:2이며 벼농사이외에 담배, 무, 배추를 많이 심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7일에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봉교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병기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우리가 살면 멫 백년 사나 에헤라 달구 살아 생전에 맘대루 노세 에헤라 달구 이 자리는 명당인데 에헤라 달구 달구소리를 잘 매겨서 에헤라 달구 달구를 잘하여서 에헤라 달구 시신을 편히 모시세 에헤라 달구 어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상제들은1) 울지만 말고 에헤라 달구 같이 들어와 달구하세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이 내 몸이 땅이 묻히는데 에헤라 달구 거져갈 수 없는 님은 에헤라 달구 노자도 필요하고 에헤라 달구 막걸리도 필요하다 에헤라 달구 동기간들 울지만 말고 에헤라 달구 노자라도 푹신 주어서 에헤라 달구 편안한디루 가게 해줘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높은 산중에 외로운 선나무 에헤라 달구 홀로가는 이 내 몸 만큼 에헤라 달구 날과 같이도 외로이 섰네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청춘하늘엔 별들도 많지만 에헤라 달구 이 세상엔 사람두 많은데 에헤라 달구 해필이면 이 내 몸을 에헤라 달구 사자님이 날 부르셨나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어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다리에다 힘을 주고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에여라 달구 에헤라 달구 에-- 1)상제(喪制): 부모 또는 승중(承重) 조부모의 거상중(居喪中)에 있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