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갈치낚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 호도의 갈치낚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동섭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동섭 |
지역개관 | 호도는 여우섬의 한자이름이며 이 곳에서는 여심이라고 부른다. 60여 가구가 살며 생업은 어업을 전업으로 하고 있다. 남자는 통발로 고기를 잡고, 여자는 해녀를 많이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23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 호도에서 채집한 갈치낚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동섭이 참여하였다. 예전에는 갈치, 조기 등을 낚시로 잡았다. 갈치는 밤에 잡는다. 이 소리는 갈치를 낚시로 잡으며 하는 소리이다. 많이 잡으면 하루에 200마리까지 잡았다. |
가사 | (“에- 뗏마 타고서1)
칼치나 좀 잡으러 가자 테- 고시라 들어가걸랑 칼치나 좀 많이좀 낚게 점지해 주시기요 용왕님네“) 왜 이냥 칼치가 안 무느냐 잠은 오구 잠은 오구 죽겄네 용왕님네 잠 와서 못허겄시다 들어가거들랑은 영 고기 좀 들어가는 데로 좀 물게 점지해 주시교 (“테테- 고시라 고사 안 모셔서 그러나 왜 이냥 고기도 안 물음니까 잠은 오고 죽겄구만 용왕님네 좀 들어가는 데로 좀 움죽움죽 좀 잠 좀 안 오게 물러 주시기요 테- 어 물었구나“) 칼치 올라온다 칼치 올라온다 칼치 올라온다 아이구 두개나 물었구나 (“에 비심2) 좋다 참 요렇게도 비심이 좋은가 칼치가 옷일 잘 입기 땜이 비심이 좋구나 테- 고시라 들어가는 데로 좀 물게 점지해 주시기요 용왕님네 나 좀 살리느라고 어 물었구나 잠 안 오게 물었구나 어이 하나 물었네 이래 또 허허 좀 두어 개 썩 들어가는 대로 좀 서너 개 썩 좀 물어 점지해 주시교“) 아이구 왜 이녕 안 무느냐 또 물정이3) 졌느냐 잠은 오구 죽겄네 이 무정헌 놈으 잠아 아이구 담배나 좀 한대 피세 잠은 오구 죽겄네 닷질 좀 해봐라 쪼금만 요리 왠겨보세 (“왠겼나? 테! 테! 고시라 들어가는 대로 좀 옴죽옴죽 좀 잠 좀 안 오게 용왕님네 좀 물게 점지해 주시교 헤 어 물었구나 올러오는구나 아이고 붕어지가 물었네 헤헤 붕어 아나고가 물었어요 아나고도 좋다 아무것일 사람 먹는거니께 아무거나 많이만 낚으면은 돈이 되는 거 아이냐? 헤- 고시라 어 물었구나 어 이번에는 갈치 올라 왔구나“) 잘도 문다 잘도 문다 잠 좀 안 오게 좀 물어 주시교 (“테- 고시라 들어가면서 좀 움죽 움죽 물으시기요 그래야 잠도 안 오고 허죠“) 아이고 왜 안 물읍니까 밤이 짚어서 안무나 잠은 오구 죽겄네 잠 좀 안 오게 고기야 고기야 좀 물어다오 물어다오 빌으야 무실라나 용왕님네 용왕님네전 축수를4) 디립니다 들어가는 데로 좀 움죽움죽 꾹꾹 눌러 감서 좀 물어주십시오 (“어 물었구나 올라온다 어따 이번에는 머리깔치구나5) 허허 자 재미도 있겄고 이렇게만 좀 물어주시먼 잠도 안 오고 얼마나 좋겄습니까?“) 용왕님네 들어가는 데로 좀 물게 점지해 주십시오 헤- 왜 이낭 안무나 밤이 짚어서 안 무느냐 잠은 오구 죽겄네 (“헤 밤 짚어여서 그러나 안무네 그랴 날은 곧 새겄고“) 새벽녘에가 댔인께 기냥 잠은 폭폭 오구 고기님 좀 물어주십시오 날은 다 새가고 어찍합니까 좀 물어주십시오 잠은 오구 날은 새구 큰 일 났습니다 좀 멫 개만 좀 더 낚으게 점지해 주십시오 용왕님네 용왕님네 축수루 바랩니다. (“헤 어따 물었구나 동튼다 날샐 라고 우머 시개나6) 물었네 시개나 물었어 허허 아이구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이구 인제 날이 다 샜네 날이 다 샜으니 고기가 물을 턱이 있나 아이고 닻 들 캐세 닻 캐 가지고 집이 들 들어가세 날새서 인제 안무네“) 1)뗏마 : 길이가 20-30자 되는 돗배. 2)비심 : 빛깔. 3)물정 : ? 4)축수(祝手) : 손을 비비며 기원함. 5)머리깔치 : 갈치의한 종류. 6)시개 : 세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