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올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리의 배올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양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양섭 |
지역개관 |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리는 충남의 서쪽 끝에 자리하여 중국에서 우는 닭의 울음소리도 들린다는 황해 한복판에 떠 있는 외로운 섬이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마치 연기에 가린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외연도라고 부른다. 140여 세대가 사는 섬으로 상록수림이 천연기념물 제 136호로 지정되었으며, 동백꽃도 유명하다. 정월 보름이 되면 아름드리 나무가 빽빽한 사이에 있는 당에서 당제를 지내는 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25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리에서 채집한 배올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양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배를 뭍으로 올리거나 바다로 내리면서 하는 소리이다. 옛날에 항이 없을 때는 태풍이 오거나 큰 바람이 불면 배를 안전한 뭍으로 옮겨야 했다. 배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로 20-30명이 배에 등을 대고 짊어 지듯이 들어 올리는 사람, 앞 손으로 받들어 올리는 사람, 땅에 드러 누워 발로 들어 올리는 사람으로 나뉘어 앞소리를 할 때 준비를 하고, 뒷소리를 하면서 다같이 힘을 주어 배를 밀어 올린다. |
가사 | ( “올려들 보세“ )
여 여어 이여 어 자니나자 이여 어 자니나자 이여 올러간다 이여 어허이 자니나자아 이여 어깨다 심을 주구 이여 어허 자 이여 어허 자니나자 이여 심을 불끈 주어서 이여 올러 가도록 이여 힘을 주어라 이여 어허 차 이여 어허 자니나자 이여 어허 자니나자 이여 어허 차 이여 어허어디야 이여 어이 자니나자 이여 요루 살짝 이여 틀어서 올러가자 이여 어 자니나자 이여 괘탁을1) 잘 넣구서 이여 어 자니나자 이여 어허자니나자 이여 아 한 잔썩 먹구서 이여 올려나 보세 이여 1)괘탁 :배를 올리기 위해 밑에 괴는 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