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령군 오천면 원산도리 선촌의 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용옥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용옥 |
지역개관 | 원산도(元山島)는 충청남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1리는 선촌, 2리는 점촌, 3리는 진창이라 부른다. 약 8년 전까지는 소를 잡아 당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농지는 논과 밭이 다 있으나 밭은 묵히는 일이 많다. 이전에는 조기․갈치․새우를 많이 잡았는데, 지금은 김 양식을 많이 하며, 까나리․실치도 많이 잡는다. 원산도해수욕장의 약 3만 600㎡의 백사장은 경사가 완만하고 모래가 고우며 바다낚시도 즐길 수 있어 피서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대천 어항에서 하루에 두 번 배가 운항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3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원산도리 선촌에서 채집한 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용옥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목선을 타고 바다로 고기를 잡으러 나깔 때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큰 배는 길이가 50자 가량 되며 8-9명이 노를 젓는다. 원래는 풍물을 치지 않았으나 녹음하면서 풍물을 치면서 소리를 했다. |
가사 | 엉차
어영차 어허디여차 어영차 어영차 어영차 물은 싸고1) 어영차 든물이2) 들어 오는디 어영차 이곳을 갈려면 어영차 삼십분이 걸려야지 어영차 애들두 울고 어영차 우리집 어메도 어영차 나오기를 어영차 기다리고 있는디 어영차 유속을 좇아 어영차 도착을 하세 어영차 허송세월 허지 말고 어영차 술 한잔 먹고 떨어지지 말고 어영차 어서가서 어영차 자식들 허구 밥을 먹세 어영차 엥차 어영차 에헤이에 에에에 어영차 엉차 어영차 어서 가자 어영차 싸게 저어라 어영차 녹봉3) 부러지면 어영차 다시 떠나간다 어영차 녹봉 부러지지 않게 어영차 잘 좀 붙들고 어영차 여보소 마누라 어영차 녹봉 좀 잘 보소 어영차 녹봉 기갈이 어영차 다 뻐개졌다네 어영차 내가 술 먹느라고 어영차 그것을 못 고쳤더니 어영차 우리 자식들 어영차 고상 좀 허겄네 어영차 잘 묶고 잘 붙들어 어영차 꼭 붙들구 저어서 어영차 이 녹봉이 어영차 부러지고 어영차 뻐개지면 어영차 우리들 허고는 어영차 상봉이 끝나네 어영차 내가 가면 어영차 혼자 가지 어영차 마누라 델구는 어영차 나는 못 가겄네 어영차 왜 못 가나 어영차 자식들 구형제 두고 어영차 섬에다 두고 어영차 물을 가질러 어영차 간 사람이 어영차 도리어 죽고 보면 어영차 날 센 제비 같은 어영차 이뿐 자식들이 어영차 그 자리서 어영차 죽고 마네 어영차 ( 풍물 ) 1)싸고 : 빠르고 2)든물 : 밀물 3)녹봉-> 놋봉 : 참나무로 깍아 노에 붙여 놓은 나무. 구멍을 뚫어 배에 붙어 있는 쇠말뚝에 꼽고 노를 젓는다. 4)녹봉 기갈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