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물당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령군 오천면 원산도리 선촌의 그물당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용옥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용옥 |
지역개관 | 원산도(元山島)는 충청남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다. 1리는 선촌, 2리는 점촌, 3리는 진창이라 부른다. 약 8년 전까지는 소를 잡아 당제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농지는 논과 밭이 다 있으나 밭은 묵히는 일이 많다. 이전에는 조기․갈치․새우를 많이 잡았는데, 지금은 김 양식을 많이 하며, 까나리․실치도 많이 잡는다. 원산도해수욕장의 약 3만 600㎡의 백사장은 경사가 완만하고 모래가 고우며 바다낚시도 즐길 수 있어 피서객들이 많이 찾아온다. 대천 어항에서 하루에 두 번 배가 운항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3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원산도리 선촌에서 채집한 그물당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용옥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조기를 잡으러 1,2월에는 칠산 바다(남으로는 흑산도 부터 목포위, 북으로는 충남까지의 바다:가창자), 3,4월에는 위도 근해, 3월 그믐에서 4월에는 연평도 근해, 5월부터 여름에는 원평도로 다녔다. 가창자는 동지나해에 선장으로 십 년간 고기 잡으러 다녔다. 이 소리는 그물을 당겨 올리면서 부른 소리이다. |
가사 |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기야디야 어야디야 이 조기가 어야디야 많이 들었는데 어야디야 가락으로1) 막고 어야디야 무릎으로 눌르고 어야디야 끝까지 당겨보세 어야디야 어야 디야 어야디야 천백 톤 들었구나 어야디야 만 톤이 들었나 어야디야 이다지도 어야디야 무거우니 어야디야 조기 하나가 어야디야 일 크라무 이 크라무2) 어야디야 나가는 조구를 어야디야 우리가 잡구 보니 어야디야 많이 좋네 어야디야 우들이 조기를 어야디야 언제나 잡을 거인가 어야디야 일생이 한 번씩만 어야디야 만난다네 어야디야 어여라 당겨라 어야디야 잘 못 당기면 어야디야 춘풍 세월3) 어야디야 바람 때밀러 어야디야 이 조기를 어야디야 다 놓친다네 어야디야 죽던 살던 어야디야 전심을4) 맡기고 어야디야 이 조기를 어야디야 다 끄실어 보세 어야디야 어야차디여라 어야디야 바디로 뜨느냐 어야디야 하나씩 줏어담으냐 어야디야 천톤 급이라면 어야디야 만 톤 급이라면 어야디야 이 조기를 어야디야 짐 부로끄로 잡어 실어서 어야디야 대한민국의 어야디야 수출하며 살어가야지 어야디야 조구는 많이 있다네 어야디야 조구가 얼만가 어야디야 흑산 바대5) 어야디야 동진해에6) 어야디야 기술이 부족해서 어야디야 못 잡았다네 어야디야 우리 김용옥이도 어야디야 동진해 선장으로 어야디야 십년동안 어야디야 하루삥 필리핀을 어야디야 다 댕긴 사람이여 어야디야 우리 대한민국도 어야디야 기술이 발달해서 어야디야 어구 측량 어야디야 이 세상 누려 보세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야디야 1)가락 -> 손가락 2)크라무 -> 그램(g) 3)춘풍 세월 : 좋은 세월 4)전심(全心) 5)흑산 바대: 흑산도 근처 바다. 6)동진해 -> 동지나해(東支那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