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그물당기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의 그물당기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규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규인 |
지역개관 | 녹도(鹿島)는 사슴의 형국으로 되어 있어 이름 부쳐졌다. 선창말(배가 닿는 곳), 큰샘말(샘물을 가장 많이 먹은 곳), 고랑말(양 골짜기 사이에 마을이 있다), 돌끝(돌아가는 끝. 즉, 섬의 끝에 있음)마을로 이루어졌다. 가구는 120호 였던 것이 점차 줄어 현재는 78호가 산다. 88년도까지 큰 소나무에 당제를 지냈는데, 동짓달․2월․8월에 세 차례나 지내다가, 이후 2월․8월에 두 차례 지냈고, 현재는 없어졌다. 뺑뺑이 어장을 주로 하고 공동어장으로는 해삼․전복양식을 한다. 봄에는 실치와 까나리, 5월초~7월 말에는 새우를 주로 잡고, 조금 때는 소라․뼈트리․고동을 잡는다. 어업을 전업으로 하며, 농사는 마늘 정도만 심어 먹는다. 전기는 자가발전을 해왔으나, 올12월부터 한전에서 세 대의 발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대천 어항에서 하루에 배가 한 번 운항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4일에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녹도리에서 채집한 그물당기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규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주목망에 잡힌 고기를 푸기 위해 그물을 끌어 올리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에-자차자
에 헤야 에엥-허 에 헤야 에-디 에 헤야라 어-허겨 에 헤야 어어어 에 헤야 어허허거 에 헤야 허어어 에 허야 에-뎌 어디여차 엥-허 에디여차 많이도 걸렸다 에디여차 이 놈 뽑아가지고 에야디야 대밭이1) 가거던 에야디야 이발도 허구 에야디야 목욕도 하고 에야디야 술도 먹구 에야디야 잘 놀어 보세 에야디야 허허 허기야 에야디야 어 에 에야디야 에에허거 에야디야 어 여 어야디야 앙 체 에야디야 에거여 에야디야 앙헤- 에야디야 앙헤에 에 헤야 에 헤에 에 헤야 에-여 에기여차 어-허기여 에 헤야 어-허에 에 헤야 에-허거 에야디야 에 헤 에야디야 에 헤에 에야디야 어-헤 에 헤야 에이저 에 헤야 엥-헤 에 헤야 에 헤에에 에 헤야 에 헤 에 헤야 에-허-여 에 헤야 어-어겨 에헤차 허어에 에 헤야 어-어어어 에 헤야 어-어 에 헤야 에 헤 에 헤야 에게헤 에 헤야 어저차자 에 헤야 빨리 빨리 에 헤야 빨리 뽑고서 에 헤야 대밭에 들어가세 에 헤야 에 허어어허 에 헤야 헤-여 에 헤야 에 헤 에 헤야 에-허어어 에 헤야 에이헤 에 헤야 어기여 에 헤야 1)대밭: 뜻 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