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유화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부여국악원의 모심는소리-산유화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홍남, 김영구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박홍남, 나/김영구 |
지역개관 | 부여국악원은 부여읍에서 약간 외각지대인 관북리(官北里)에 있는데, 소나무 숲속에 둘러 싸여 있다. 건물과 악기는 군에서 보조를 하고, 강습 및 운영은 박흥남(75세, 부안출생, 산유화가 기능보유자)원장이 한다. 박원장은 25년 전 부여 세도 지역에서 불리던 농사소리를 듣고(이 때, 들녘에서는 이미 이 소리는 하지 않았다고 함.) 이를 배워 산유화가 보존, 전수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해 왔다. 현재 부여국악원을 중심으로 산유화가보존회가 활동을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3월 10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부여국악원에서 채집한 산유화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홍남, 김영구가 참여하였다. <산유화가>는 노동의 현장에서 불리던 소리에 음악적인 짜임새를 갖춘 노래라 하겠다. <산유화가> 계보는 임윤필-김학수-홍준기(이상 장산리사람)-박홍남,이병호로 이어진다. 세도면 가회리에 전수회관이라고 하기엔 초라한 가건물같은 산유화가 전수회관이 있다. 충남 지방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
가사 | <긴산유화가>
에-헤-헤-아아- 에헤이 에헤-에헤여루 상-사-뒤-여- 가:산유화야 산유화야 궁야평1) 너른들에 논도 많고 밭도 많다 씨 뿌리고 모 옮겨2) 충실허니 가꾸어서 성실하게 맺어보세 헤에 에-헤-헤- 아아- 에헤이 에헤-에헤여루 상-사- 뒤-여- 나:산유화야 산유화야 입포에 남당산은3) 어찌그리 유정턴고 매년 팔월 십육일은4) 웬 아낙네 다 모인다 무슨 모의가 있다던고 에-헤-헤-아아- 에헤이 에헤-에헤여루 상-사-뒤-여- 가:산유화야 산유화야 이런 말이 웬 말이냐 용머리를5) 생각허면 구룡포에6) 버렸으니 슬프구나 어화 벗님 구국충성7) 못다했네 에-헤-헤-아아- 에헤이 에-헤-에헤여루 상-사-뒤-여- 나:산유화야 산유화야 사비강 맑은 물에 고기잡는 어옹들아 웬갖 고기 다 잡어도 경치일랑 잡지마소 강산풍경 좋을시고 에-헤-헤-아아- 에헤이 에헤-에헤여루 상-사-뒤-여- <자진 산유화가> 가:어화 어화 상사디여 어화 어화 상사디여 가:산유화야 산유화야 네 꽃피어 자랑마라 어화 어화 상사디여 나:네 꽃피어 자랑마라 구십수광8) 잠깐 간다 어화 어화 상사디여 가:구룡포 너른 들에 봇줌소리9) 한창이요 어화 어화 상사디여 나:한산에 베틀가는 어깨 춤이 절로 난다 어화 어화 상사디여 가:농사 일이 바쁘건만 부모 형제 구제한다 어화 어화 상사디여 나:취영봉에10) 달이 뜨고 사비강에 달이 진다 어화 어화 상사디여 가:해가 뜨면 영일루요11) 달이 뜨면 망월대라11) 어화 어화 상사디여 나:넓고 넓은 구룡뜰에 오곡꽃이12) 더욱 좋다 어화 어화 상사디여 가:배 띄여라 배 띄여라 사비강에 배 띄여라 어화 어화 상사디여 1)궁야평: 宮野坪. 부여군 세도면 광산리 일대의 넓은 들. 2)모 옮겨: 모를 심어. 3)입포에 남당산: 부여군 양화면 笠浦里 근처에 있는 산. 백제 패망 당시 유민들이 당나라에 끌려가는 사람들을 전송했는데 이후 인근 주민들이 매년 8월 16일 이 산에 오르는 일이 하나의 민속으로 굳어 져 근래까지 전승되어 왔다고 함. 4)매년 팔월 십육일: 백제 유민들이 당나라 소정방에게 잡혀 간 날이 8월 17일이기 때문에 매년 팔월 십육일을 제삿날로 삼음. 당시에는 잡혀간 사람들의 소식을 들으러 매년 이 때에 남당산에 모이다가 나중에는 부녀자들이 친지를 서로 만나기 위해 모이는 날이 되었다고 함. 최근까지 이 풍속이 전해지 다 약 60년 전쯤 없어졌다고 함. 5)용머리: 왕에 대한 상징. 6)구룡포: 九龍浦. 구룡평야와 백마강이 맞닿는 곳으로, 백마강의 호국룡이 당나라 군사에게 패해 이곳 에서 죽었다는 전설이 현지에 전해 옴. 7)구국충성: 救國忠誠. 나라를 구해내는 충심. 8)구십수광-> 구십춘광(九十春光). 봄의 따스한 볕. 9)봇줌소리-> 모춤소리. 모찌는 소리. 10)취영봉: 부여 부소산 동쪽 마루에 있는 봉우리. 11)영일루, 망월대: 취영봉에 있는 누각, 누대. 12)오곡꽃: 다섯가지 곡식에 핀 열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