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무하러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의 나무하러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1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남도 > 부여군 |
생산지역 상세 | 부여읍 용정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5 , 나무하러가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충청남도 , 충남 , 부여군 , 1993 , 1995 , 나무하러가는소리 , 하운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하운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하운 |
지역개관 | 20호밖에 살지 않는 조그마한 마을이다. 이전에는 산제․건립․샘굿 등을 하였고, 백중날과 칠석날을 명절처럼 지냈으나 현재는 다 없어졌다. 벼농사와 딸기, 수박 등을 경작한다. 부여 용정리 호상노리로 제 3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92년, 구미)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에서 채집한 나무하러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하운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나무하러 갈 때 지게 작대기로 풍장을 치면서 소리를 했다 |
가사 | 울타리 밑에서 꼴베는 총각
눈치나 있거든 떡 받어 먹게 떡일랑 받어 팡개치고1) 홀목만2) 잡구서 딱 놀아진다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요 아리라롱 고개로 넘어간다 올라당 팔라당 수갑사3)댕기 반비틀 머리에4) 갈보가 노네 어제 왔나 오늘 왔나 인사를 말구 어디로 만나자고 말만 하게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1)팡개치고: 팽개치고. 2)홀목: 손목. 3)수갑사: 수놓은 좋은 비단. 4)반비틀 머리: 여자의 댕기 두른 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