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부여읍 동납리 마천의 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상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상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논산군, 서쪽은 서천군과 보령군, 남쪽은 전라북도 익산군, 북쪽은 공주군과 청양군에 접하고 있다. 백제의 고도로서 많은 문화 유적과 유물이 산재해 있다. 군청소재지는 부여읍 동남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납리 마천에서 채집한 자진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상수가 참여하였다. 녹음은 부여읍 관북리 프린스장 여관에서 했다. 동납리 마천은 가창자의 거주지이다. 어려서 도깨비장난등의 놀이를 하면서 부른 노래라 한다. |
가사 | 덜크덩 쿵덕궁 찧는 방아
언제나 다 찧고 밤마실 갈까 밤마실 댕기기 질기더니1) 홍당목 치마가2) 열두챌세 열둘이 얼러서 히여준3) 치마 말기가4) 없어서 못 입겄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울타리 밑이서 깔비는5) 총각 눈치나 있거든 떡 받아 먹소 떡일랑 받어서 팡개치고6) 홀목을7) 잡고서 발발 떤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물동이 안에다 받어논 술은 고개짓 허다가 다 엎지렀네 고개짓 허다가 엎지른 술은 쌀뜨물 같어도 말만 좋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울타리 꺾으면 나온다더니 행랑채8) 다 헐어도 왜 아니 나와 아리아리 쓰리쓰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산중에 괴물은9) 머루 다루 인간에 괴물은 사랑인데 사랑에 든 정은 그 무엇인가 잠들기 전에는 못 잊겄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봄철인지 갈철인지10) 몰랐더니 뒷동산의 황애추가11) 날12) 일러주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염청봉13) 꼭대기 호대기14) 소리 진도안 갈보가 다 모여든다 아리아리 스리스링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넘어간다 1)밤마실 댕기기 질기더니: 밤에 놀러다니기 즐기더니 2)홍당목치마: 몽당치마. 몹시 모지라져사 아주 짧게 된 치마. 3)히여준: 해준. 4)말기 : 치마나 바지 등의 맨 윗 허리에 둘러서 댄 부분. 5)깔: 꼴. 6)팡개치고: 팽개치고. 7)홀목: 손목. 8)행랑채: 대문간에 붙어있는 집채. 9)괴물-> 귀물(貴物). 귀한 물건. 10)갈철인지: 가을인지 11)황애추: 꽃나무의 일종으로 구,시월에 꽃이 환하게 핀다고 함. 12)날: 계절을 13)염청봉: 계룡산 너머에 있는 봉우리 이름이라 함. 14)호대기: 호드기. 물오른 버들가지나 짤막한 밀짚 토막으로 만든 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