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부여읍 동납리 마천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상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상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논산군, 서쪽은 서천군과 보령군, 남쪽은 전라북도 익산군, 북쪽은 공주군과 청양군에 접하고 있다. 백제의 고도로서 많은 문화 유적과 유물이 산재해 있다. 군청소재지는 부여읍 동남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납리 마천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상수가 참여하였다. 메물을 심어서 수확을 하고 가공을 해 국수를 만들어 놓고 임을 기다리나 임은 죽어서 북망산천에 갔다는 소식을 듣고 앞으로 살아갈 날에 대한 탄식이 담겨있는 노래이다. 메물노래에 서사적인 부분이 합쳐져 있다. 가창자가 어릴 때 도망장난 놀 적에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우리 아버지가 장에 가서
메물 한 되 팔어다가 이 밭 저 밭 던져 놓고 삼 개월만에 가서 보니 메물 대는 붉은 대고 메물 열마는 검은 열마1) 앞집이야 이도령아 뒷집이야 김도령아 메물 비러나 안 갈라나 산내끼 사리는2) 손에 들고 꾀꼬랑 낫은 옆에 찌고 메물단을 비어다가 마당에다 잠을 재고3) 쌍도루깨로 발을 맞춰4) 두두루깨로 짝을 맞춰 싸리비루 순행 돌고5) 고무래로 몰아디려6) 버들치로 재주넘고7) 멍석이다가 잠을 재워도8) 맷뚤이다가 선미를 빼고9) 덜크덩 방아에 분결같이 빵궈다가10) 안반에다 분을 발러11) 홍두깨에 옷을 입혀12) 중칼 쌍칼을 골라 들고 실낱같이 쓸으다가 호호탕탕13) 넓은 솥에 술렁술렁 삶어 놓고 문밖이를 썩 나서니 올라가는 행인님네14) 내려오는 선비님네 우리 님은 어데 가시고 아니오나 자네 님은 북망산천 칠성판에15) 누워갔다네 아이고 담담 설음져라 이내 팔자 앞집이로 마실 가서 화래불로16) 벗을 삼고 시월을 보내고 맞어 맞어 맞엤더니 허무헌 세상에 인생 백년이 다 죽었네 1)열마: 열매. 2)산내끼 사리: 새끼를 여러 겹으로 사려놓은 것. 3)마당에다 잠을 재고: 마당에다 메밀을 널어 놓은 것의 비유. 4)쌍도루깨로 발을 맞춰: 도리깨(곡식 알을 떠는 농구)로 메밀을 떨어내는 것의 비유. 5)싸래비루 순행 돌고: 싸리비로 쓸어내는 일의 비유. 싸리비로 쓸어 모아라는 뜻. 6)고무래로 몰아디려: 고무래(곡식을 그러모으거나 펴는데 사용하는 농구)로 모으는 일의 비유. 7)버들치로 재주넘고: 버들로 만든 키로 까불러서라는 뜻. 키로 잡티를 떨어내는 일의 비유. 8)멍석이다가 잠을 재워도: 멍석에다 널어 놓음. 9)맷뚤이다가 선미를 빼고: 맷돌로 갈아라는 뜻. #서-->빼뚜리리다가 선미를 빼고: 두드려서 잡티를 빼내는 일의 비유. 10)분결같이 빵궈다가: 분같이 하얗게 빻아다가. 11)안반에다 분을 발러: 떡을 칠 때에 쓰는 두껍고 넓은 나무판에다 밀가루를 발라. 12)홍두깨에다 옷을 입혀: 홍두깨로 밀어라는 뜻. #서-->반죽을 미는 방방이에다 밀가루를 묻혀. 13)호호탕탕: 浩浩蕩蕩. 넓고 넓어서 끝이 없음. 14)행인님: 길가는 사람. 15)칠성판: 관 속 바닥에 까는 얇은 널조각. 16)화래불: 화롯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