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석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석구 |
지역개관 | 봉곡(鳳谷)마을은 40호가 살고 있다. 마을 입구에 몇백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정자나무 잎의 상태를 보고 한 해 농사를 미리 점친다고 하며 해마다 빠지지 않고 제를 지낸다. 또 칠석날에는 마을 뒷산에서 산산제를 지내는데, 호랑이가 내려오는 오후 6시부터 약 30분간 지낸다고 한다. 이 마을 어떤 이는 50이 넘어 산신제의 제주가 되고 난 후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논농사 위주이고 밭곡식도 조금 경작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7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석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못방구(장구)치면서 모를 심으며 부르는 소리이다. 서천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소리이다. 봉산리는 서천군에 인접해 있다. 농부가형 모심는 소리를 잦은 소리로 한다. |
가사 | 에 에헤여라 하하 사헤 간데로구나
헤 에헤여라아아 사헤 간데로구나 나비야 나비야 청산을 가세 아헤 간데로구나 헤 에헤여라아아 사헤 간데로구나 꽃두 따고 임도나 보세 아헤 간데로구나 헤 헤헤여라아아 사헤 간데로구나 앞동산 봄 춘잔데 뒷동산 푸를 정자라1) 가지야가지 꽃 환잔데 굽이굽이도 내천자로세 아헤 간데로구나 헤 헤헤여라아아 사헤 간데로구나 에헤헤이여루 상사디여 헤헤 허이여루 상사디여 여기도 꽂고 저기도 꽂고 장구 배미로 갑시다 에헤 허이여루 상사디여 1)뒷동산 푸를 정자라-> 뒷동산 푸를 청(靑)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