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꼬댁각시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주술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의 방망이점노래-꼬댁각시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영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영구 |
지역개관 | 봉곡(鳳谷)마을은 40호가 살고 있다. 마을 입구에 몇백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정자나무 잎의 상태를 보고 한 해 농사를 미리 점친다고 하며 해마다 빠지지 않고 제를 지낸다. 또 칠석날에는 마을 뒷산에서 산산제를 지내는데, 호랑이가 내려오는 오후 6시부터 약 30분간 지낸다고 한다. 이 마을 어떤 이는 50이 넘어 산신제의 제주가 되고 난 후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논농사 위주이고 밭곡식도 조금 경작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에서 채집한 꼬댁각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영구가 참여하였다. 꼬댁각시는 물에 빠져 죽은 불쌍한 영혼이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의 소망을 들어 준다고 한다. 한사람에게 대를 잡히고 노래를 불러 원하는 것을 말하면 대답을 해준다고 한다. 가창자는 삼백원을 잊어버린 상황을 설정하고 노래를 하였다. 노래하는 중에 꼬댁각시가 불쌍하다고 눈물을 훔쳤다. |
가사 | 꼬댁각시 불쌍헌중
이방꾼이 다 안다네 한살 먹어 어멈 죽고 두살 먹어 아범 죽어 세살 먹어 걸음 배야 네살 먹어 말을 배고 다섯살 먹어 삼춘네 집이 찾어가니 삼춘 숙모 거둥보소 불 때다 말고 부주땡이로1) 날 메치네 아이고 담담 설음지고 지이고 담담 원퉁허네 여름 되면 삼년 묵은 누덕바지2) 양지 양지 뙤양양지 내여시고 겨울 되면 삼년 묵은 베등거리3) 그늘 그늘 내여시네 아이고 담담 설음지고 지이고 담담 원퉁허네 그럭저럭 십오세가 당도허니 앞문 앞이 중신애비 뒷문 앞이 중신애비 들랑달랑 드나드네 시집이라 간다는게 명구같은4) 사람 만나가지고 눈물세월 다 보내네 아이고 담담 설음지고 지이고 담담 원퉁허네 허다 못해 살다 못해 예라 그만두어라 임당수5) 가에 신발 벗어 벗어놓고 다홍치마 석자세치 무름쓰고6) 빠졌네야 아이고 담담 설음지고 지이고 담담 원퉁허네 댓닙끝이 실렸거든 댓닢가지 놀아보고 송잎끝이 실렸거든 송잎같이 놀아보세 너도 청춘 나도 청춘 청춘까지 놀아보세 지비(제비)춤도 추어보고 나비춤도 추어보고 훨훨히 놀아보세 꼬댁각시 원언이면7) 내 원언을 풀어주소 내가 돈 삼백원을 잊어 버렸는디 가져 간 사람 있은게 가져간 사람 게로 흔들어 주시오 너도 청춘 나도 청춘 청춘까지 놀아보세 훨훨히 놀아보세 지비(제비)춤도 추어보고 나비춤도 추어보세 훨훨히 놀아보세 ( “여기서 가져갔네 여기서 가져갔어 허허허 “ ) 1)부주땡이: 부지깽이. 아궁이의 불을 헤치는 막대기. 2)누덕바지: 솜으로 누벼 넣은 두꺼운 바지. 3)베등거리: 삼베로 만든 얇은 옷. 4)명구: 자신의 이름을 이르는 듯. 5)임당수-> 인당수. 심청이 빠져 죽은 물. 6)무름쓰고: 무릎쓰고. 뒤집어 쓰고. 7)원언: 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