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꼬댁각시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기타유희요 > 주술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의 방망이점노래-꼬댁각시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노매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노매지 |
지역개관 | 봉곡(鳳谷)마을은 40호가 살고 있다. 마을 입구에 몇백년 된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정자나무 잎의 상태를 보고 한 해 농사를 미리 점친다고 하며 해마다 빠지지 않고 제를 지낸다. 또 칠석날에는 마을 뒷산에서 산산제를 지내는데, 호랑이가 내려오는 오후 6시부터 약 30분간 지낸다고 한다. 이 마을 어떤 이는 50이 넘어 산신제의 제주가 되고 난 후 아들을 얻었다고 한다. 논농사 위주이고 밭곡식도 조금 경작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봉산리 봉곡에서 채집한 꼬댁각시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노매지가 참여하였다. 한 사람에게 대를 잡히고 노래를 부른 뒤 물음을 던지면 꼬댁각시 혼이 대에 내려 대답을 해준다고 한다. “꼬댁각시 놀리고 하데!”. 언제 시집 갈 까?등 궁금한 것들을 해소하는 놀이였다. |
가사 | 꼬댁각시 불쌍허네
한살 먹어 어멈 죽고 두살 먹어 아범 죽고 시살 먹어 말을 배고 네살 먹어 걸음 배고 그렁저렁 다섯살이 삼춘이 집이 채즘채즘1) 챚어갔데이 삼춘 숙모 불 때다가 부지땡이로 나려치네 아이고 담담 설움지고 이내 설움 또 있으랴 삼춘이라 방 쓰는디 방이라고 들어가니 삼춘이 거동보소 방 씰다 말고 비찌라기로2) 나려치네 아이구나 담담 설움지고 이내 설움 또 있으랴 여름이라 돌어오면은 미영치마3) 미영적삼 튼튼갬겨 양지양지 뙤양양지4) 내여시고 절기라고 돌어오면 마포치마5) 마포적삼 입혀갖고 그늘그늘 새양그늘6) 내여시네 아이구나 설움 설움지고 요 내 설움 또 있으랴 그럭저럭 십오세가 먹어진게 시집이라 간다는게 고재낭군 읃어갔네 그러나마 믿고 살라 히였더니 고재낭군 샘일만이 톡 죽네 그려 아이구나 설움 설움지고 이내 설움 또 있으랴 연잎 끝이 실렸거든 연춤이나7) 추어보소 댓잎 끝이 실렸거든 댓춤이나 추어보소 훨훨이 놀아보소 연춤도 추고 댓춤도 추고 솔잎춤도 추고 훨훨이 놀아보세 너도 소년 나도 소년 소년까지 놀아보세 1)채즘채즘: 차츰차츰. 2)비찌라기: 빗자락. 빗자루. 3)미영치마: 명치마. 무명으로 만든 겨울 치마. 4)뙤양양지: 뙤약볕이 드는 양지. 5)마포치마: 마로 만든 여름 치마. 6)새양그늘: 음산한 그늘. 7)연춤: 연잎이 흔들리는 것과 같은 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