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죽드림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고양골의 벼드리는소리-죽드림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진옥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진옥 |
지역개관 | 탑곡(塔谷)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탑동 중곡리와 고양동 부산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탑동의 탑자와 중곡리의 곡자를 따서 탑곡리라 하였다. 1반은 수렁치기, 2반은 아랫말, 3반은 장밭들이라 부른다. 70호가 살며, 벼농사 이외에 하우스 재배로 달래와 오이를 많이 심어 수입을 올리고 있다. 이 마을은 20년 전까지도 볏가래 쓰러 트리기를 하였고, 추석날부터 2, 3일간은 박첨지 인형극 놀이를 해 왔다. 박첨지 인형극 놀이는 1920년 후반에 이 마을 주민 주연산(朱連山, 남, 1903년 생)씨가 당시 강원도에서 이사해 온 유영춘씨에게서 기능을 전수 받아 매년 명절날에 농악대와 함께 놀던 민속인데, 일제말기와 6.25의 혼란기 속에서 중지되었다가, 다시 발굴 전승되어 오고 있는 귀중한 민속놀이이다. 등장 인물은 박첨지와 평양감사, 홍동지를 위시해서 약 11명 정도이고, 놀이 시간은 1시간 정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1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고양골에서 채집한 죽드림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진옥이 참여하였다. 타작을 한 벼의 쭉정이를 날리기 위해서 죽가래로 퍼 올리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오헹
오헹 번쩍 들어서 오헹 무지개처럼 오헹 오헹 오헹 오헹 오헹 노세 노세야 오헹 젊어서 노세 오헹 술잔이나 먹었으니 오헹 번쩍 들어서 오헹 무지개 처럼 오헹 디려를 봅시다 오헹 어렵다 말구서 오헹 오헹 오헹 주인네는 술잔을 오헹 가지구 왔네 오헹 오헹 오헹 홍시 나왔다 오헹 오헤행 오헹 노세 노세 오헹 젊어서 노세 오헹 늙고 병들면 오헹 못 노나니 오헹 이제 가며는 오헹 언제나 오나 오헹 오마는 날짜나 오헹 일러를 주게 오헹 오헹 오헹 왔다 가는 건 오헹 오라는 눈치요 오헹 왔다 가는 건 오헹 가라는 눈치라 오헹 오헹 오헹 물동이 안이다 오헹 술 받어 넣었더니 오헹 고갯짓 장단에 오헹 다 엎어졌구나 오헹 채곱해 끝상투1) 오헹 끄덕쿵 허닝께 오헹 담너머 큰 애기 오헹 궁뎅이 춤만 춘다 오헹 오헹 오헹 수양사 접저고리 오헹 고이보단2) 낭자는 오헹 언제나 걸어도 오헹 환장만 허겄네 오헹 오헹 오헹 오헹 오헹 고야고야 오헹 담방고야 오헹 너와나와 오헹 함끼 가자 오헹 오헹 오헹 오헹 오헹 1)채곱해 끝상투: 세꼬패 끝상투. 상투 꼽을 때 세번 머리를 틀어서 묶는 것을 말함. 2)고이보단: 괴불단. 낭자들이 치마끈이나 주머니에다 매다는 장식으로 비단 조각으로 만든다. 제보자 에 의하면 괴불의 원래 뜻은 고양이 불알로서 장식이 괴불처럼 생겼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