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물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대산읍 대산5리의 나물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언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언년 |
지역개관 | 서산군은 충청남도 서북단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당진군과 예산군, 동남으로는 홍성군과 천수만, 서북쪽으로는 태안군과 갈림만에 접하고 있다. 주요 산으로는 가야산(伽倻山, 678m)이 예산군과, 팔봉산(八峰山, 362m)이 태안군과 경계를 이룬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2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대산5리에서 채집한 나물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언년이 참여하였다. 나물 하러 가면서, 나물 하면서 또는 놀러 다닐 때 부른 노래이다. 주로 야외에서 불렀다. |
가사 | 나물을 캐러 가세
나물을 뜯으러 가세 산으로 올러가서 고사리 꺽어다 지둥을 세고1) 취나물 뜯어서 지붕을 허고 원추리2) 도려서 대문을 달고 부모님 모시구 살어보세 1)지둥을 세고: 기둥을 세우고. 2)원추리: 산지에 나는 무릇난과에 속하는 다년초. 봄에 일찍 나오는 여린 잎으로 국을 끓이거나 무쳐 먹는다. 납작하게 난초처럼 생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