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의 논매는소리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경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한경희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는 웃말, 중간말, 벌뜸, 새동암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시루산(운산리)과 삼형제봉(영탑리), 망일산(望日山, 302m)등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데, 예전에는 망일산에서 기우제를 지냈고, 볏가래 쓰러트리기를 한 마을이다. 볏가래 쓰러트리기는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했던 의식으로 떡시루, 돼지머리, 과일, 포도 상을 차린다. 동네 어른이 축원덕담을 하고, 술을 올리고, 떡을 사방에 던진 뒤 볏가래를 쓰러뜨린다. 음복을 하고, 농악치면서 각 집을 찾아다니며 덕담과 축원하였다고 한다. 70세대가 살며 다른 마을에 비하여 젊은이들이 많고, 50세 미만의 애향회․노인회․부인회 등이 결성되어 활동을 한다. 노인회가 주축이 되어 방학 때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교실이 운영되는 등 활기넘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3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경희가 참여하였다. 호미로 논을 매면서 하는 소리이다. 도살이를 하고 아시뎅이와 두벌뎅이를 하면서 <얼카뎅이>를 한다. 마무리소리(몬들소리)는 얼러차를 한다. 논 사정에 따라 도살이를 두 번하고 호미뎅이는 한 번을 하고 만물로 마무리를 짓기도 한다. |
가사 | 얼카뎅이
얼카뎅이 넘어간다 얼카뎅이 얼러차 덩어리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일간을 떠다가1) 얼카뎅이 이삼간 덮어도2) 얼카뎅이 재강아지3) 얼카뎅이 눈 감은 듯4) 얼카뎅이 미끈허겡 얼카뎅이 손질을 잘해서 얼카뎅이 넘구넘네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일락 서산 얼카뎅이 해 떨어지공 얼카뎅이 월출 동창 얼카뎅이 저 달이 솟넹 얼카뎅이 우리네 인생 얼카뎅이 한번 났당 얼카뎅이 한번 죽기넌 얼카뎅이 정한 일이다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잘 넘어간다 얼카뎅이 소리 바람에-- 얼카뎅이 논 서마지깅 얼카뎅이 바발발 떤당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안산 따그메5) 얼카뎅이 골수박 파듯잉6) 얼카뎅이 재강아지 얼카뎅이 눈감은 듯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얼카덩어링 얼카뎅이 눈먼 장대7) 얼카뎅이 깔대밭 허위듯8) 얼카뎅이 허우적 허우적 얼카뎅이 잘들두 맵니다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얼러차덩어링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잘 넘어간다 얼카뎅이 양허리 쭉 빼어 얼카뎅이 앞가슴 더듬어 얼카뎅이 어덕9) 밑으롱 얼카뎅이 살살 기어가 얼카뎅이 우잇배미로 얼카뎅이 올라들 가시옹 얼카뎅이 얼카댕이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잘 넘어간당 얼카뎅이 앞산은 가깝구 얼카뎅이 뒷산은 멀어져성 얼카뎅이 오늘 한 배미 얼카뎅이 훌렁 냄기고 얼카뎅이 또 한배미루 얼카뎅이 접어들었네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멧돼지 한 철도 얼카뎅이 유월이 한 때랑 얼카뎅이 우리네 농부들 얼카뎅이 이 때가 한 땔세 얼카뎅이 얼카덩어리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얼카뎅이 얼카뎅이 잘 넘어간당 얼카뎅이 얼카덩어리 얼카뎅이 넘구 넘네 얼카뎅이 잘 넘어간다 얼카뎅이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 얼러차아- (다같이) 1)일간을 떠다가: 논맬 때 한 구덩이를 떠다가. 2)이삼간 덮어도: 한 구덩이 떠낸 흙으로 둘 내지 세 구덩이를 덮어도. 논맬 때 대충대충 매는 것을 말함. 3)재강아지: 검은 강아지. 4)눈 감은 듯: 눈을 감은 듯. 재강아지 눈 감은 듯하다는 비유는 검은 강아지가 눈을 감으면 아무 것 도 보이지 않듯이 논 맬 때 흙 떠낸 구덩이를 감쪽같이 감추어 버리는 것을 말함. 5)안산 따그메: 안산의 까마귀. 6)골수박 파듯잉: 골수박을 파먹듯이. 7)장대: 바다의 고기. 8)깔대밭 허위듯: 갈대밭을 허적이듯. 9)어덕: 논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