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의 논매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경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한경희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는 웃말, 중간말, 벌뜸, 새동암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시루산(운산리)과 삼형제봉(영탑리), 망일산(望日山, 302m)등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데, 예전에는 망일산에서 기우제를 지냈고, 볏가래 쓰러트리기를 한 마을이다. 볏가래 쓰러트리기는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했던 의식으로 떡시루, 돼지머리, 과일, 포도 상을 차린다. 동네 어른이 축원덕담을 하고, 술을 올리고, 떡을 사방에 던진 뒤 볏가래를 쓰러뜨린다. 음복을 하고, 농악치면서 각 집을 찾아다니며 덕담과 축원하였다고 한다. 70세대가 살며 다른 마을에 비하여 젊은이들이 많고, 50세 미만의 애향회․노인회․부인회 등이 결성되어 활동을 한다. 노인회가 주축이 되어 방학 때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교실이 운영되는 등 활기넘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3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경희가 참여하였다. 도살이나 만물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어허리 넘차소리라고도 한다. 마무리소리는 손으로 훔치는 작업을 나타내는 소리인 훌띠려를 한다. |
가사 | 허 허 허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허라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일락 서산1) 해는 지고 월출이 동창2) 달이 솟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먼디 사람 보기나 좋고 가깐디 사람은 듣기 좋게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처른 하게3) 잘 돌어간다 우리네 농부들 잘 돌어간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천하지대본이 농사나 밖엔 또 있느냐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앞산은 가까워지고 뒷 성산 멀어만지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소리 바람이 나 논 한마지기 다 돌어갔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아하헤 오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어라아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미낀 유월4) 술떡 넘어 가고5) 묘동동 팔월이 또 돌어온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우리네 인생들이 한번 왔다 갈 것인디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흥뚱거리고 놀지를 말고 부지런 부지런히 일들 해서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후손들에 재산을 물려줘 이런 재산이라두 좋을시고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술렁 술렁 논매는 소리 막걸리 한잔이 생각난다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하아헤 호호허야 어허리 넘차 너어라하 어 허 어허 허야 어허리 넘차 너 하아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훌띠려랑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훌띠려랑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훌띠려랑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훌띠려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어햐라 훌띠려 야 (다같이) 1)일락서산(日落西山): 해가 서쪽 산으로 기움. 2)월출(月出)이 동창(東窓): 달이 동쪽 창에 뜨다. 월출 동녘의 와전인듯. 3)처른하게: 처량하게. 4)미낀 유월: 미끄러운 유월. 5)술떡 넘어가고: 훌떡 넘어가고. 얼른 넘어가고. 빨리 지나간다는 뜻. 6)묘동동 팔월: 오동동거리는 팔월. 팔월에는 풍요해서 동동걸린다고 표현한듯 하다. 이외에도 제보자는 칠월은 더워서 어정정하다며 어정칠월이라고 표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