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죽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의 벼드리는소리-죽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경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한경희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는 웃말, 중간말, 벌뜸, 새동암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시루산(운산리)과 삼형제봉(영탑리), 망일산(望日山, 302m)등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데, 예전에는 망일산에서 기우제를 지냈고, 볏가래 쓰러트리기를 한 마을이다. 볏가래 쓰러트리기는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했던 의식으로 떡시루, 돼지머리, 과일, 포도 상을 차린다. 동네 어른이 축원덕담을 하고, 술을 올리고, 떡을 사방에 던진 뒤 볏가래를 쓰러뜨린다. 음복을 하고, 농악치면서 각 집을 찾아다니며 덕담과 축원하였다고 한다. 70세대가 살며 다른 마을에 비하여 젊은이들이 많고, 50세 미만의 애향회․노인회․부인회 등이 결성되어 활동을 한다. 노인회가 주축이 되어 방학 때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교실이 운영되는 등 활기넘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3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에서 채집한 죽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경희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잘나- 어헤 잘 나간당 어헤 힘차게 어헤 쭉쭉 어헤 잘 뽑어 던져라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죽드림 바람1) 어헤 잘 나간당 어헤 어헤 어헤 쭉쭉 어헤 뽑어성 어헤 잘 던져랑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석양에 어헤 서릿바람 어헤 나오기 어헤 시작헌당 어헤 어헤 어헤 벳무데기 어헤 큼직하게 어헤 잘 던져 어헤 내놔랑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여보 어헤 이형 어헤 잘던져 어헤 쭉쭉 어헤 뽑어서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잘 나간당 어헤 빗자락 어헤 잘 쓸어 어헤 쓸어디리고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어헤 잘 돌어간다 어헤 잘 나간다 어헤 어헤 어헤 꾸겨는2) 어헤 멀리가 어헤 별랑은3) 어헤 가깝겡 어헤 뚝 떨어진당 어헤 다 넘어갔다 어헤 어헤 어헤 말바퀴 어헤 준비허구 어헤 핑핑 돌어 어헤 열두 바퀴 돌어 어헤 빗자락 따르구 어헤 굵게 따르구 어헤 죽가래 따르구 어헤 돌구 돌어 어헤 핑핑 돌아라 어헤 열두 바퀴 돌아라 어헤 얼썽 돌어 어헤 돌구 돌어 어헤 돌구 돌어 어헤 어헤 - ( 다같이 ) 1)죽드림 바람: 죽가래질로 이는 바람. 2)꾸겨는: 끗겨는. 쭉정이 벼는. 3)별랑은: 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