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목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의 목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경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한경희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는 웃말, 중간말, 벌뜸, 새동암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시루산(운산리)과 삼형제봉(영탑리), 망일산(望日山, 302m)등이 마을을 감싸고 있는데, 예전에는 망일산에서 기우제를 지냈고, 볏가래 쓰러트리기를 한 마을이다. 볏가래 쓰러트리기는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했던 의식으로 떡시루, 돼지머리, 과일, 포도 상을 차린다. 동네 어른이 축원덕담을 하고, 술을 올리고, 떡을 사방에 던진 뒤 볏가래를 쓰러뜨린다. 음복을 하고, 농악치면서 각 집을 찾아다니며 덕담과 축원하였다고 한다. 70세대가 살며 다른 마을에 비하여 젊은이들이 많고, 50세 미만의 애향회․노인회․부인회 등이 결성되어 활동을 한다. 노인회가 주축이 되어 방학 때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교실이 운영되는 등 활기넘치는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23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읍 운산5리에서 채집한 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경희가 참여하였다. 통나무를 운반하면서 부른 소리이다. 중선규모인 실치잡이배의 닷을 참나무로 만들었는 데 산에서 참나무를 베어 강변까지 옮기면서 목도를 했다. |
가사 | 어-허이
어기영차 어기영차(어경차) 어영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어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슬렁슬렁 어기영차(어경차) 사뿐사뿐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영차 어기영차(어경차) 간다 간다 어기영차(어경차) 잘 나간다 어기영차(어경차) 어영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잘 나간다 어기영차(어경차) 잘 나가 어기영차(어경차) 에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기영차 어기영차(어경차) 개울 있다 어기영차(어경차) 얕어진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발 챙겨라 어기영차(어경차) 사뿐사뿐 어기영차(어경차) 무릎아래 어기영차(어경차) 걸음으루 어기영차(어경차) 사뿐사뿐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에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올라선다 어기영차(어경차) 밀어다구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올라섰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깨 다듬어 어기영차(어경차) 어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발맞추구 어기영차(어경차) 어영차 어기영차(어경차) 에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하 어기영차(어경차) 에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거전 왔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렵다 말구 어기영차(어경차) 참구 참어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다 왔단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거전 왔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빼지말구 어기영차(어경차) 밀어다구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에이하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바닥이나 어기영차(어경차) 거칠구나 어기영차(어경차) 발 챙겨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렵구나 어기영차(어경차) 어려워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기여라 어기영차(어경차) 어려워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된땀 난다 어기영차(어경차) 진땀 난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깨 친다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어경하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어경 어기영차(어경차) 으겨으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놀자리1) 봐라 어기영차(어경차) 질진애비 어기영차(어경차) 무엇허니 어기영차(어경차) 놀자리 닦어 어기영차(어경차) 어기영차 어기영차(어경차) 거전 왔다2) 어기영차(어경차) 어렵다 말구 어기영차(어경차) 밀어다구 어기영차(어경차) 어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으경 어기영차(어경차) 으겨으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차 어기영차(어경차) 으경차라 어기영차(어경차) 으겨으겨 어기영차(어경차) 으겨으겨 어기영차(어경차) 놓고(다같이) ( “왔다!” ) 1)놀자리: 지고 온 물건을 놓을 자리. 2)거전 왔다: 거의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