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죽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질마재의 벼드리는소리-죽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광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광순 |
지역개관 | 질마재는 마을이 소에 짐을 싣기 위한 질마형국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사람이 죽으면 꼭 한 명이 따라서 죽었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에 서낭제를 지냈으나 그 나무가 자연적으로 죽어 없어진므로 현재는 지내지 않고, 예전에는 지냈던 주봉산에서의 산제와 간대산에서의 기우제도 오늘날은 지내지 않는다. 볏가래 세우기도 하였다. 이즈음은 마을에 환갑이 있거나 경로잔치를 베풀 때만 농악을 치면서 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6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질마재에서 채집한 죽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광순이 참여하였다. 벼를 타작한 뒤 죽정이를 바람에 날리기 위해 죽가래로 벼를 디리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오헹
오헹 잘 나가누나 오헹 오헹 오헹 오헹이여 오헹 멀리 뻗쳐서 오헹 가치1) 들지말고 오헹 높이 들어서 오헹 잘 디려 봅시다 오헹 오헹이여 오헹 빗자락허고도 오헹 쓸목 쫓아서2) 오헹 알곡 맹글세 오헹 오헹 오헹 힘들다 말 말고 오헹 높이 들어서 오헹 살살 펴가지고 오헹 잘들도 해 봅시다 오헹 오헹이여 오헹 잘들도 허네요 오헹 바람세 좋구요 오헹 산풍에3) 돛달듯 오헹 잘들도 헙니다 오헹 오헹이요 오헹 쓸어나 젖히고 오헹 높이나 들어서 오헹 알곡을 맹급시다 오헹 오헹이여 오헹 살살 펴서 오헹 높이 들고서 오헹 어려워 말 말고 오헹 막판 일이니 오헹 디려나 봅시다 오헹 오헹이여 오헹 오헹 오헹 높이 들고요 오헹 바람세 좋을 때 오헹 디려나 봅시다 오헹 오헹 오헹 오헹이여 오헹 어렵다 말 말고 오헹 높이 들어서 오헹 디려나 봅시다 오헹 오헹 오헹 빗자락 드신분 오헹 뒷목이나 쓸어서4) 오헹 옆댕이로 젖히고 오헹 알배만 냉겨서 오헹 편아 맹글어5) 오헹 힘들다 말 말고 오헹 디려나 봅시다 오헹 오헹 오헹 오헹 오헹 오헹이여 오헹 1)가치: 가까이 2)쓸목 쫓아서: 짚이나 잔 검불 등을 쓸어내려서. 3)산풍: 순풍. 4)뒷목이나 쓸어서: 벼에서 쭉정이를 골라내어 영근 알곡만을 좋은데로 모아서. 5)편아 맹글어: 무덤 모양으로 만들어. 알곡을 무덤 모양으로 모아 쌓는것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