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질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질마재의 말질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광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광순 |
지역개관 | 질마재는 마을이 소에 짐을 싣기 위한 질마형국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사람이 죽으면 꼭 한 명이 따라서 죽었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에 서낭제를 지냈으나 그 나무가 자연적으로 죽어 없어진므로 현재는 지내지 않고, 예전에는 지냈던 주봉산에서의 산제와 간대산에서의 기우제도 오늘날은 지내지 않는다. 볏가래 세우기도 하였다. 이즈음은 마을에 환갑이 있거나 경로잔치를 베풀 때만 농악을 치면서 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6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음암면 탑곡리 질마재에서 채집한 말질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광순이 참여하였다. 벼를 말로 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벼 타작이 끝나고 죽정이를 죽가래질을 하며 다 날리면 벼를 광에다 넣는다. 벼를 광에 넣을 때 말로 되어서 그 해의 수확을 가늠한다. |
가사 | 허허 여그이도 한 말
여기도 한 말 하나 하나면 두 말 여기도 두 말 둘이라 둘이면 서 말 여기도 서 말 셋인디 셋이면 너 말 셋이면 너 말 넷이라 넷이면 다섯 말 넷이면 다섯 말 다섯허구 다섯이면 여섯 말 다섯이면 여섯 말 여섯 여섯이면 일곱 말 여섯이면 일곱 말 일곱이라 일곱은 여덟 말 일곱은 여덟 말 여덟허구두 여덟은 아홉 말 여덟은 아홉 말 아홉 아홉은 한 가마 아홉은 한 가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