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치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산군 부석면 간월도리의 만선풍장소리-배치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동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동식 |
지역개관 | 간월도리는 큰말, 볏말(연벗이 있던 곳, 벗은 가마솥에 바닷물을 끓여 만든 소금), 달발굴(마을에서 달을 제일 먼저 보는 곳, 무학대사가 지었다고 함)로 이루어졌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6일에 충청남도 서산군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채집한 배치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동식이 참여하였다. <붕기타령> 이라고도 한다. 고기 잡으러 갈 때, 고기를 많이 잡아 들어올 때, 정월 초사흗날 당맞이 할 때에 부른 소리이다. |
가사 | 미엽 쪽으로 내다를 보니
수많은 재산이 두둥실 나떴다1) 하-아아아 에헤에 하-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먼 배 틈머리2) 북치고 났네 하 아아아 에에에 하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이물대3) 꼬작이 붕기만 지르고 허릿대4) 꼬작이 장화만 늘였다 하 아아아 에에에 에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칠산 영산 다 벌어먹고 어연도5) 바다로 돈 실러 간다네 하 아아아 에에에 헤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배 임자네 아지머니 술동이 밥동이 뒤집어 이고 접판6) 머리서 궁둥침 춘단다 아 하아아 에에에 아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우리 배 사공님 신수가 좋아 오만 팔 천냥 물어다 놓고 살조개 바탕이7) 도장환 들였다 하 아아아 에에에 아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이물로 고물로 들오는 조기 우리 배 망자루8) 다 잡아 내렸다 하 아아아 에에에 하 아아아 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 아아아요 1)두둥실 나떴다: 그물이 바다 위에 두둥실 떠오른 것을 묘사한 것임. 조기가 많이 잡히면 잡힐 수록 그물은 바다위로 떠오른다. 2)먼 배 틈머리 북치고 났네 : 많은 배와 배 사이에서 조기를 많이 잡아 북을 치게 되었다는 뜻. 3)이물대: 배 앞쪽에 있는 돛대. 4)허릿대: 배 뒤쪽에 있는 긴 돛대. 5)어연도-> 어영도 6)접판: 배와 육지를 가로놓는 판. 7)살조개 바탕이 : 살조개가 사는 바닥에. 8)망자: 그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