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비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중리의 벼드리는소리-나비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승남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승남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중리에는 40호에 120여 명이 논농사를 주로 경작하며 살고 있다. 나주 김씨와 전주 이씨 등이 많이 산다. 마을 뒷산인 남산(南山, 147m)에서 20여 년 전까지 기우제를 지냈다. 또 30여 년 전까지 이 산에서 매년 8월 17일이면 딱 하루 장이 섰다고 한다. 이 장에는 여자들만 갔다고 하는데, 이 날은 여자들이 친정식두들이나 옛 친구를 만나고 소식을 접할 수 있는 마당이 되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2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중리에서 채집한 나비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승남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벼를 타작하고 쭉정이를 날리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나비질은 부여, 서천의 소리로 한명이 죽가래로 벼를 허공으로 퍼 올리면 옆에서 키를 위에서 아래로 부치며 바람을 일으켜 쭉정이를 날린다. 키로 부치는 모양이 나비를 닯았다고 해서 나비질이라 한다. |
가사 | 어-여라 나비여-허
어-여- 나비여 나비 나비 청산 나비 어-여- 나비여 청산 가다가 날이 저물며는 어-여- 나비여 꽃 속에서 잠자고 가세 어-여- 나비여 어여라 나비여 허 어-여- 나비여 바람 불어 쓰러진 남긔1) 어-여- 나비여 눈비 맞어 일어나네 어-여- 나비여 만첩청산2) 비바람에 어-여- 나비여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어-여- 나비여 도화동을3) 가거들랑 어-여- 나비여 편지 한장을 전혀다- 어-여- 나비여 어혀라 나비여 어-여- 나비여 청사초롱 불 밝혀라 어-여- 나비여 잊은 낭군이 또 다시 오네 어-여- 나비여 늦어좋네 젊어 놀아 어-여- 나비여 늙으며는 못 노느니 어-여- 나비여 1)남긔: 나무. 2)만첩청산(萬疊靑山): 첩첩이 둘러싸인 푸른 산. 3)도화동: 신선이 살았다고 하는 무릉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