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천군 한산면 여사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기병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기병 |
지역개관 | 한산면(韓山面)은 모시와 소곡주로 유명한 곳이다. 여사리(余士里)는 음지뜸, 양지뜸, 선부락으로 이루어졌다. 가구는 53호에 130여 명이 산다. 이전에는 장수 황씨와 안동 권씨 세거지였는데, 현재는 각성이 산다. 농사는 논농사와 참께, 고추 등을 많이 심는다. “살아서는 한산군, 죽어서는 임천군”이라 하였을 정도로 살기가 좋은 고장이라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13일에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여사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기병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을 때 못방구(장구)를 치면서 하는 소리이다. 소리는 대략 서너시 부터 했다. 서천, 부여일부지역, 전북 평야지역(옥구,익산)의 모심는 소리이다. <잦은소리>는 농부가형 <상사소리>를 부른다. |
가사 | <못방구소리>
허 허어 어허야 헤헤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헤가 네로구낭 허 허어 어허야 허헤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에에 헤가 네로구나 잘들 허시네요 잘들 허시네요 우리네 모 심으며 한번 놀다가세 허 허어 어허야 허헤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에에 헤가 네로구나 못방구 소리에1) 처녀과부가 맘이 흔들흔들하네 허 허어 어허야 허헤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에에 헤가 네로구나 여기다 꼽고 저기다 꼽아두 이내 저리 사방줄모이 되는구낭 허 허어 어허야 허허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에에 헤가 네로구나 나온다 나오신다 우리네 배불릴 것 나오시네 아낙네들 으짝거리며2) 나오시넹 허 허어 어허야 허헤이야라 상에헤야 아에 에에 헤가 네로구나 어야 어이야루 상사디요 어야 헤헤이야루 상사디요 얼쩌구 절씨구 다 심었다 요것만이 심으며는 어야 헤헤이야루 상사디요 여기다 꼽구 저기다 꼽구 사방 줄모3) 만드세 어야 헤이야루 상사디요 1)못방구 소리: 장구치면서 부르는 모심는 소리를 못방구 소리라고 함. 2)으쩍거리며: 제보자에 의하면 못방구 소리가 들리면 아낙네들이 새참을 가지고 여기서 조금 저기서 조금 나온다고 함. 즉 기우쩍 기우쩍거리면서 나오는 것을 뜻한다고 함. 3)사방 줄모: 대충 막 심어도 사방으로 줄이 선 것처럼 가지런한 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