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아산군 영인면 백석포리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한영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한영 |
지역개관 | 영인면(靈仁面)은 군의 북쪽에 위치하며 아산호를 사이에 두고 평택과 마주하고 있다. 백석포(白石浦)는 글자 그대로 흰돌마을이 한자화한 것이다. 1리와 2리 합하면 240호에 1200여 명이 사는 아주 큰 마을이다 아산만을 막아서 농경지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마을을 둘러싸고 큰 들판이 펼쳐져 있다. 마을 뒷산에는 백석산신이라는 위패가 모셔진 당이 있다. 매년 음력 섣달 그믐날 자시에 당제를 지낸다. 제관은 제주내외, 축관 1명, 화장(심부름꾼)2명이며 삼색실과 시루떡을 담은 술을 제물로 바치고 제를 지내며 각 호주의 이름으로 소지를 올린다. 예전에 정월 14일 저녁에는 선주와 객주들이 뚝제를 지내기도 했다. 아산만을 막기 전까지는 농업과 어업을 병행하였으나, 현재는 논농사위주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3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영인면 백석포리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한영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죽지 않고도 또 왔네
품바하고도 들어간다. 어얼씨구나 들어가 정월이라 속 썪딘 정은 이월 매조에 맺거라 하고 삼월이라 사꾸라 곱게 피어 사월 흑싸리 젖혀놓고 오월 난초에 놀던 나비 유월 목단에 춤을 추니 칠월 홍돼지 홀로 누워 팔월 공산에 구경가네 구월 국화나 곱게 피어 시월 단풍에 떨어지니 동지야 섣달에 설한풍에 단봇짐이나 웬말이냐 품바하고도 잘한다 일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일선에 가신 우리 낭군 나를 보러나 오시네 이자나 한자나 들고나 봐 이승만이가 대통령 한태용씨가 부통령 슥 삼자나 들고나 봐 삼천만에 우리 동포 남북통일을 소원한다 어얼씨구나 잘한다 품바허고도 잘한다 사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사천이백에 칠십에 팔년 해방에 총소리 들려온다 어어얼씨구나 잘 한다. 저얼씨구두 잘 한다 오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오십만에 우리 군대 남북통일을 소원하네 저얼씨구나 잘 한다 품바하고도 잘 한다 육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육이오 사변에 남편 잃고 과부생활이 웬말이냐 어얼씨구나 잘한다 품바하고도 잘한다 칠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칠선바다에 함포에 사격 북한 일대를 점령한다 어얼씨구나 잘하네 품바허고도 잘한다 팔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팔문점에나 정전회담 한태용씨가 들어가시네 헤 어얼씨구나 잘한다 품바허고도 잘한다 구자나 한자나 들고나 봐 군인 생활 삼년만에 무등병1)이 웬말이냐 얼씨구나 잘한다 품바허고도 잘한다 장자나 한자나 들고나 보니 장가들더네 첫 날 밤 소집에 영장이 웬말이냐 얼시구나 잘한다 품바허고도 잘한다 어얼씨고도 잘한다 잘두 놀구 잘도한다 ---에 자식인지 걸찍 걸찍도 잘 한다 막걸리 동이나 먹었는지 굵직 굵직도 잘하구 서글서근도 잘 한다 품바 허고도 잘하네 에 안녕히 계십시오 1)무등병: 군대에서 사고를 쳐서 계급을 모두 잃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