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희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희준 |
지역개관 | 각골은 가곡(佳谷)이라고도 부른다. 아산만 방조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바닷가에서 조개잡이가 생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나, 현재는 논농사와 고구마․열무 등을 많이 하며 선장농협의 김치공장에 출하를 한다. 기후가 농사짓기에 적합한 마을이며, 특별한 수해나 가뭄의 피해가 없는 마을이다. 53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4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희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형화된 형식을 가진 모심는 소리는 없다. 혼자 수를 세는 소리를 하거나 기원을 담은 소리를 하면서 모를 심는다. |
가사 | 여기도 또 하나 심고 또 둘을 심어라
어느새 백 평두 심고 이 백 평을 심었느니라 사람이 살며는 한오백년 사나 살어생전에 맘대로 놀어보세 또 하나 심고 또 둘이 들어간다 작년에 들어갔던 자리 또 들어간다 시어머니 잔소리에 보리방아 물 부어놓고 또 하나 들어간다 또 들어간다 작년에 들어갔던 자리 또 하나 들어간다 떳다 보아라 안창남에1) 비행기 내려다 보니 삼천리 강산이요 어화둥둥 내 사랑이로다 또 하나 심고 또 둘을 심어보니 올해도 풍년이요 내년에도 풍년이로다 인생하처에 불상봉가2) 수원을 막결하라3) 노공협초에 난하피니라4) 사람이 수를 삼지말아야 하느니라 또 들어간다 또 하나를 심었구나 작년에 들어갔던 자리 십년전에 씨 뜨러 왔던 자리 또 들어간다 올해도 풍년 내년에도 풍년 연연이 풍년 오기를 기원하느니라 우리 대흥리4구 사람들이 심는 모마다 볏이삭이 백개 이백개씩 열도록 풍년을 애원해주시고 올해는 단비를 주소서 가뭄이 없도록 하여주시기를 기원하면서 심는나이다 또 하나 심어 또 둘을 심었구나 작년에 들어갔던 자리 또 들며간다 인간백년 다 살아야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걱정근심을 다 제하면 단 사십 못 살인생 우리 인생 한번 가면 고만이니 살어생전 내 맘대로 놀아보세 또 들어간다 또 들어간다 혼자? 들어가는 길목이니 서슴지 말고 심어다오 여러분들 올해도 풍년 들이를 기원하느니 비나이다 비나이다 하나님께 비나이다 풍년 오기를 비나이다 또 심구 또 하나 들어간다 올해도 심은 자리 내년에도 또 들어간다 연연이 들어간다 우리 인생 백년 살중 알아야 살지 못하느니라 인간 백년 다 살아야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걱정 근심을 다 제하면 단 사십 못 살 인생 어화 둥둥 내 사랑아 1)안창남: 일제 시대의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로 알려진 사람. 2)인생하처(人生何處)에 불상봉(不相逢): 인생을 살다보면 어느 곳에서든 서로 만나지 않을 수가 없다. 곧 어 느 곳에서건 만나게 된다는 말. 3)수원(讐怨)을 막결(莫結)하라: 원수를 짓지 말라. 4)노공협초에 난하피라--> 로봉협처 난하피(路逢狹處 難何避)일 듯. 즉 길이 좁은 곳에서 만나면 피하기 어렵 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