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희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희준 |
지역개관 | 각골은 가곡(佳谷)이라고도 부른다. 아산만 방조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바닷가에서 조개잡이가 생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나, 현재는 논농사와 고구마․열무 등을 많이 하며 선장농협의 김치공장에 출하를 한다. 기후가 농사짓기에 적합한 마을이며, 특별한 수해나 가뭄의 피해가 없는 마을이다. 53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4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희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심고 18,9일 지나서 논매기를 한다. 논매기는 아시매기, 두벌, 만물 세번을 맨다. 아시매기는 호미로 한 칸을 떼서 한 칸을 덮는다. 두벌은 호미로 뭉쳐있는 뎅이를 흩어 버린다. 아시와 두벌은 얼카덩이리를 하며, 얼카에 호미로 논을 찍고 덩어리하면서 당긴다. 주인은 따비(벼포기가 쓰러진 것)를 일으키며 돌아다닌다. 열시 경부터 논에 들어가서 일을 시작하며 한시 반쯤에 한 시간쯤 오침을 즐기고 두 시 반쯤 밀개떡 안주에 술이 나오면 이것을 먹고 이후부터 해질 녘까지 소리하면서 논을 맨다. 두레를 할 때는 하루종일 소리를 했다. |
가사 |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지심도1) 많고 풀도 많은데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해는 져서 일력서산에2) 넘어가는데 얼카덩어리 우리에 갈 길은 천만리러니 부지런 딴딴 매어를 가세 얼카덩어리 작년에도 풍년이 왔는데 올해도 풍년일세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어덜떨거리고 나는 가네 얼카덩어리 덩어리 소리에 입 맞춰서3) 훔치적 훔치적 올러를 가세 얼카덩어리 풍년 풍년 연연이 풍년 올해도 풍년이로세 얼카덩어리 우리네 살림살이 요만만 하며는 넉넉하지 얼카덩어리 어가리 넘차 덩이소리 맞춰갑시다 얼카덩어리 해는 지서 일력서산에 넘어 가고 우리 갈 길은 천리만리로다 얼카덩어리 천년 만년 살 줄 알아야 그렇지 않은 것이 우리 인생이로세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얼카덩어리 어화뎅이 어화뎅이 몬들 하세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뎅이 소리에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동안말 화뎅이 어화뎅이 어천에 재동이4)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갓골에5) 재동이 어화뎅이 창말에5) 개똥이 어화뎅이 풀도 많고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지심도 많으네 어화뎅이 뎅이 소리라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어화뎅이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지심도 많다 어화뎅이 망대싹도6) 많고 어화뎅이 바랭이도7) 많고 어화뎅이 가지각색 어화뎅이 풀도 많으니 어화뎅이 뎅이 소리에 어화뎅이 뎅이 뎅이 어화뎅이 몬들 하세 어화뎅이 어화뎅이 어화뎅이 뎅이뎅이 어화뎅이 에- 1)지심: 잡초. 2)일력서산: 일락서산(日落西山)의 와전. 해가 서쪽산으로 지다. 3)덩어리 소리에 입 맞춰서: 덩어리 소리(논매는 소리)를 입 맞추어 부르면서. 4)어천에 재동이: 어천(대흥리1구)에 사는 재동이란 사람. 5)갓골, 창말: 근처에 있는 마을 이름들임. 6)망대싹도 많고: 망대싹은 잡초의 한 종류임. 7)바랭이: 논에 나는 잡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