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희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희준 |
지역개관 | 각골은 가곡(佳谷)이라고도 부른다. 아산만 방조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바닷가에서 조개잡이가 생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나, 현재는 논농사와 고구마․열무 등을 많이 하며 선장농협의 김치공장에 출하를 한다. 기후가 농사짓기에 적합한 마을이며, 특별한 수해나 가뭄의 피해가 없는 마을이다. 53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4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희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손으로 만물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지심을 뿌치채 빼서 논에 묻는다. 마무리 할 때 <몬들소리>를 한다. |
가사 | 에야 데야 어허허허야 어야 데야 산이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이풀 저풀 말할 거 없이 구석구석으로 훔쳐 냅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따빌랑은 치지를 말고1) 발짝을 잘 띱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에야 데야 헤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시어머니 죽었다고 좋다 했더니 보리방아 물 부어놓고 생각이 나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시아버니 죽었다고 좋다 했더니 왕골자리 쳐다보니 생각이 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에야 데야 헤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물 들온다 배 띄워라 바람이 분다 연 띄워라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기와자 좋다 풍년 풍년 연연히 오는데 우리네 살림살이 요만하면 넉넉하지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시동생 죽었다구 좋다했더니 나뭇간2) 디려다보니 생각이난다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요기가 어드멘가 대흥리 하고도 --일세3) 에야 데야 에헤헤헤야 에야 데야 산이로다 어하 몬들 어하 몬들 몬들 몬들 어하 몬들 어하몬들 어하 몬들 이풀 저풀 어하 몬들 망댕이 가래4) 어하 몬들 모두 모두 어하 몬들 훔치자 훔치자 어하 몬들 징걸랑은5) 밟으시고 어하 몬들 어하 몬들 어하 몬들 몬들 몬들 어하 몬들 몬들허세- 어이 1)따빌랑은 치지를 말고: 따비는 논 매다가 잘못해서 벼를 쓰러뜨리는 것을 말함. 곧 벼를 쓰러뜨리지 말고. 2)나뭇간: 나무를 해서 쌓아 놓는 창고. 3)대흥리하고도 ...일세--> 갓골: 이 마을의 이름. 4)망댕이 가래: 잡초의 종류. 5)징걸랑을--> 지심일랑은: 잡초일랑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