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희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희준 |
지역개관 | 각골은 가곡(佳谷)이라고도 부른다. 아산만 방조제가 생기기 이전에는 바닷가에서 조개잡이가 생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나, 현재는 논농사와 고구마․열무 등을 많이 하며 선장농협의 김치공장에 출하를 한다. 기후가 농사짓기에 적합한 마을이며, 특별한 수해나 가뭄의 피해가 없는 마을이다. 53가구가 산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4일에 충청남도 아산군 선장면 대흥4리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희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집을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를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지점돌에 줄을 묶어 어여라에 당겨서 잡아 올리고, 차-하에 잡아 내려 땅을 다진다. |
가사 |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이 집을 져 놓고 어여라 차하 부자가 안 되면 어여라 차하 무엇이 될거나 어여라 차하 콰광광 놓아라 어여라 차하 다같이 합해서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초가 삼칸 어여라 차하 집을 짓고 어여라 차하 양친 부모 어여라 차하 모셔다가 어여라 차하 천년만년 어여라 차하 살고 지고 어여라 차하 아들을 낳며는 어여라 차하 공자를 낳고 어여라 차하 딸을 낳며는 어여라 차하 공주님이 되노라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콰광쾅 며치고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허허둥둥 어여라 차하 잘 들도 합니다 어여라 차하 힘을 냅시다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땅지렁이가1) 깨지도록 어여라 차하 콰광쾅 놉시다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이 집을 져놓으면 어여라 차하 네거리 풍장에2) 어여라 차하 자손 만대 어여라 차하 부귀영화 어여라 차하 천석군 되시니 어여라 차하 집터하고는 어여라 차하 제일 자리니 어여라 차하 어렵다 말고 어여라 차하 구쿵쿵 눌러라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차 어여라 차하 어여라 처차 어여라 차하 콰광쾅 굴러라 어여라 차하 이 집을 져놓고 어여라 차하 천년 만대가 어여라 차하 살 곳이니 어여라 차하 어려워도 어여라 차하 어렵다말고 어여라 차하 쾅쾅 굴러서 어여라 차하 땅지렁이가 어여라 차하 눞두록하세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잦은소리>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어여 차차 어여라 차하 어여 차차 어여라 차하 어여 차차 어여라 차하 자진가락으로 어여라 차하 어야라 차차 어여라 차하 쾅쾅 굴릅시다 1)땅지렁이: 땅에 사는 지렁이. 2)네거리 풍장에: 네군데의 처마끝에 다는 풍경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