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데미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군 남면 양화리의 집터다지는소리-지데미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수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수성 |
지역개관 | 자연 마을 이름은 동촌, 고은말, 사당말, 정자동 등이다. 170호에 350여 명이 살고 있으며, 부안 임씨(林氏, 시거리 임씨)의 세거지이다. 마을에서 일부 개인적으로 서낭(참나무, 소나무)을 위하는 정도의 제가 있고 특별한 마을 공동제의는 없다. 다만 칠월 칠석날과 추석에 동네 사람들이 모여 술 마시고 풍물을 치면서 논다. 농사는 벼농사 위주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8일에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양화리) 세종동에서 채집한 지데미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수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집터를 다지면서 부른다. |
가사 | ( 앞부분 말소리, 후렴잘맞지않음 )
어구여차 지데미 후- 어구여차 지데미 후- 어구여차 지데미 후- 어구여차 지데미 후- 여기도 다지고 어구여차 지데미 저기도 다지고 어구여차 지데미 예지동을1) 어구여차 지데미 꽉꽉 다지어 어구여차 지데미 가만가만 어구여차 지데미 다우여서? 어구여차 지데미 금도끼도 어구여차 지데미 덩어리 친다 어구여차 지데미 어기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기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높은 산에 어구여차 지데미 재 날리고 어구여차 지데미 얕은 산에 어구여차 지데미 재 날린다2)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돈 줄 사람은 어구여차 지데미 나하나 뿐인데 어구여차 지데미 돈 받을 사람은 어구여차 지데미 빗발치듯 어구여차 지데미 하는구나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여보게 총각아 어구여차 지데미 홀목을 놓아라 어구여차 지데미 질상사3) 접저고리 어구여차 지데미 등 타진다 어구여차 지데미 등 타나지는 건 어구여차 지데미 꼬매나 입지야 어구여차 지데미 생사람 죽는 줄 어구여차 지데미 왜 몰러 주느냐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여보게 총각아 어구여차 지데미 허릿매 놓게 어구여차 지데미 양사지4) 허리띠 어구여차 지데미 곤때나 묻는다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생사람 죽는 줄 어구여차 지데미 왜 몰러 주느냐 어구여차 지데미 팔라당 팔라당 어구여차 지데미 수갑사 댕기는 어구여차 지데미 곤때도 안 묻어 어구여차 지데미 통부가 왔네5)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임이 오시려면 어구여차 지데미 날게로 오지야 어구여차 지데미 누구를 바라고 어구여차 지데미 아니나 오시나 어구여차 지데미 웃일라면 어구여차 지데미 깔깔이 웃지나6) 어구여차 지데미 행주치마 입에 물고 어구여차 지데미 입만다 빨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어구여차 지데미 1)예지둥을-> 네지둥을: 네개의 기둥을. 2)재 날린다: 눈이 날린다. 3)질상사: 길상사. 아주 좋은 비단. 4)양사지: 비단의 종류. 5)통부가 왔네-> 통부가 왔네: 소식을 알리는 편지가 왔네. 6)깔깔이 웃지나: 깔깔 웃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