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의 논매는소리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재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임재수 |
지역개관 | 축산리는 축산(또는 취산), 구룡, 청말, 느실, 봉천 등의 마을이 모여서 이루어졌다. 축산(丑山)이라는 지명은 원래는 취산(鷲山)이었는데, 일제시대 때에 바뀐 것으로 마을의 주산인 수리산의 매봉재가 마치 수리새의 형상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전에는 거리제를 음력 정월대보름과 팔월 열 나흗날 저녁 나절에 지냈는데, 짚으로 움막을 세우고 제를 지낸 다음 불로 태워 버렸는데, 6.25이후에 없어졌다고 한다. 또 두레논 맬때는 풍장싸움을 심하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까지 계승되는 풍속은 정월 대보름과 중추절에 풍물을 치며 전 마을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노는 일이다. 아직도 설날이면 집집마다 어른을 찾아 뵙고 세배 드리는 미풍양속이 사라지지 않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0일에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재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아시매기와 이듬매기를 할 때 부른다. 얼카산이야와 대허리가 합쳐진 소리이다. 이 소리를 하고 난 뒤 <얼카산이야>를 잦은소리로 하고 쌈쌀 때 에워싸자를 하면서 끝난다. 얼,산,대,야 소리에 호미질을 한다. |
가사 |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서마지기 논배미가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 바람에 다 맸구나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줄카산이야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여기도 매고 저기도 매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모든 잡초가 죽게시리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줄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대허리 바람에 논 다맨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이 논배미를 얼른 매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막걸리 먹구서 또 맵시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점슴참이 늦어가니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른 매고서 나갑시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줄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이 농사를 잘 지어서루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국가에 세금 다 바치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부모 봉양 하여가며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우리 가정이 먹고 삶이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여러분들의 손끝에 달렸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참 잘매네 참두 잘매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우리의 농부님 참 잘매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오늘 이 논을 얼른 매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내일은 저 근너 논을 매세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자진가락>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줄카산이가 대허리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이것이 대허리냐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건너 가는게 대허리다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대허리 바람에 논 다 매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앞집 주막 건너가서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막걸리 한잔 먹구서루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집이 가서 잠을 자세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대허리 바람에 논 다 매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기다리는 정든 님을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른가서 만나보고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떤 사람 팔자 좋아 얼카산이가 대허리야 어------(다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