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의 논매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재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임재수 |
지역개관 | 축산리는 축산(또는 취산), 구룡, 청말, 느실, 봉천 등의 마을이 모여서 이루어졌다. 축산(丑山)이라는 지명은 원래는 취산(鷲山)이었는데, 일제시대 때에 바뀐 것으로 마을의 주산인 수리산의 매봉재가 마치 수리새의 형상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전에는 거리제를 음력 정월대보름과 팔월 열 나흗날 저녁 나절에 지냈는데, 짚으로 움막을 세우고 제를 지낸 다음 불로 태워 버렸는데, 6.25이후에 없어졌다고 한다. 또 두레논 맬때는 풍장싸움을 심하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까지 계승되는 풍속은 정월 대보름과 중추절에 풍물을 치며 전 마을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노는 일이다. 아직도 설날이면 집집마다 어른을 찾아 뵙고 세배 드리는 미풍양속이 사라지지 않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0일에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재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손으로 논바닥을 훔치면서 부르는 논매는 소리이다. 모찌는 소리와 선율을 같이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이루 참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 훔치네 에야산으로 참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오늘 여러분 훔친 논은 그대로 말려서 잡초 죽이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일년 농사를 잘 짓기는 오늘 여러분 손에 달렸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 훔치네 에야산으로 참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한 구텡이도 빼놓지 말고 마지막 논을 잘 매주소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이루 참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피 한 포기도 내놓지 말고 보풀하나도1) 냉기저 말어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또 잘하네 여러분 손질로 참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동령에 달이 솟아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이 논배미를 얼른 훔치고 가정으로 돌아가요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어떤 사람은 팔자가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네 구텡이야 풍경 달고2) 호의 호식에 잘 사련만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우리 농부는 복이 없어 날만 새면 논매는 일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천하지대본은 농사 밖에나 또 있는가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우리 농부가 논 안 매면 어떤 사람이 논을 매나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잘하고 잘하네 에야산으로 잘하네 1)보풀: 토란 줄기처럼 생긴 잡초. 2)네 구텡이야 풍경 달고: 지붕의 네 군데 처마 끝에 풍경을 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