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운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종운 |
지역개관 | 축산리는 축산(또는 취산), 구룡, 청말, 느실, 봉천 등의 마을이 모여서 이루어졌다. 축산(丑山)이라는 지명은 원래는 취산(鷲山)이었는데, 일제시대 때에 바뀐 것으로 마을의 주산인 수리산의 매봉재가 마치 수리새의 형상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전에는 거리제를 음력 정월대보름과 팔월 열 나흗날 저녁 나절에 지냈는데, 짚으로 움막을 세우고 제를 지낸 다음 불로 태워 버렸는데, 6.25이후에 없어졌다고 한다. 또 두레논 맬때는 풍장싸움을 심하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까지 계승되는 풍속은 정월 대보름과 중추절에 풍물을 치며 전 마을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노는 일이다. 아직도 설날이면 집집마다 어른을 찾아 뵙고 세배 드리는 미풍양속이 사라지지 않은 마을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0일에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운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지경돌로 집터를 다지면서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어여러 차하
어여러 차하 어여러 차하 어여러 차하 번쩍 들었다가 어여러 차하 쿠궁쿵 놉시다 어여러 차하 산지 조종은 어여러 차하 곤륜산이요 어여러 차하 수지 조종은 어여러 차하 황해순데 어여러 차하 곤륜산 어여러 차하 일지맥이1) 어여러 차하 실낱같이도 어여러 차하 낙맥을2) 하야 어여러 차하 해동이라3) 어여러 차하 조선국에 어여러 차하 주추주춤 어여러 차하 낙맥을 했네 어여러 차하 어여러 차하 어여러 차하 평양성으로 어여러 차하 돌아를 들어서 어여러 차하 단군 천년 어여러 차하 기자 천년 어여러 차하 이 천년을 어여러 차하 도읍후에 어여러 차하 경상도로다가 어여러 차하 내려를 가서 어여러 차하 경상도 어여러 차하 교월산은 어여러 차하 신라방에도 어여러 차하 치국인데 어여러 차하 구백년을 어여러 차하 도읍후에 어여러 차하 황해도로다 어여러 차하 치달어서 어여러 차하 개성 송악 어여러 차하 돌아를 들제 어여러 차하 성첩이 어여러 차하 웅장두 하고 어여러 차하 인물이 어여러 차하 번성하야 어여러 차하 왕건 태조 어여러 차하 도읍후에 어여러 차하 경기도로다가 어여러 차하 돌아를 들어서 어여러 차하 1)일지맥(一支脈): 갈라져 나온 하나의 산줄기. 2)낙맥(落脈): 산줄기가 떨어져 나옴. 3)해동(海東): 해동은 발해의 동쪽에 있는 나라. 즉 우리나라를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