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둥 둥기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군 금남면 용포리의 아이어르는소리-둥둥 둥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명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임명순 |
지역개관 | 연기군은 충청남도의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청원군, 서쪽은 공주군, 남쪽은 대전시 대덕구, 북쪽은 천안군과 경계를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30일에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용포리에서 채집한 둥둥 둥기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명순이 참여하였다. 어른들이 손자를 재우면서 부르는 노래를 듣고 배운 것이다. |
가사 | 둥 둥 둥기야
둥기 둥기가 둥기야 천하 호걸도 내 낭군 만주 백관도 내 군사 삼천 뱃가리가 내 아들 만고에 효녀도 내 딸이고 동방에 화초도 내 손자다 둥 둥 둥기야 말 잘 하느니 앵무새 춤 잘 추느니 학두루미 둥 둥 둥기야 이려나 쪄쩌나 쟁기질 머심군 노리개1) 인두나 꽂고나 바느질 우리 큰 애기 노리개 2) 1)이려나 쪄쩌나 쟁기질 머심군 노리개: 머슴은 일 만한다는 뜻으로 쟁기질이 노리개라는 뜻. 2)인두나 꽂고나 바느질 우리 큰 애기 노리개: 큰 애기는 바느질을 노리개 삼아 한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