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축원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산군 덕산면 광천리 남은들의 고사소리-고사축원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광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광선 |
지역개관 | 덕산에서 가야산을 향해 가다가 오른쪽으로 산등성이 고갯마루에 있는 마을이다. 흥선대원군의 야심이 담겨 있는 남연군묘를 이장할 때 운구에 쓰던 상여가 있는 마을이다. 상여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남은들 상여라고 불린다. 중요민속자료 제 31호로 지정되어 마을 앞 국도를 넘어 밭 가운데 있는 보호각에 보관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3일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광천리 남은들에서 채집한 고사축원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광선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 차리는 고사반은 충청남도에 널리 퍼진 고사반 형태를 갖는다. 고사상 위에 쌀을 담은 말을 올린다. 주인의 밥그릇에 쌀을 담아 말 위에 올린다. 밥그릇에 초를 꼽는다.초 뒤에 숟가락을 세우고 숟가락에 실타래를 감아 말 앞으로 늘어뜨린다. 말 옆으로 냉수 한 사발을 놓는 것이 보편적인 고사반이다. 여유가 있는 집에서는 북어, 과일 등을 올리기도 했다. 안택이나 뱃고사를 할 때 많이 한다. |
가사 | 고사로다1) 고사로다 고사축원을 받으시오
시화연풍2) 국태민안에3) 범연에4) 날어든다 이씨 환영에5) 등극6)하여 수지나 조중은 황해수라7) 산지지중은 골농산이요8) 골농산 능막에9) 뚝 떨어져 어정에 주춤 나레와서 삼각산이 기봉이10) 되여 왕십리 만년등은11) 좌우청룡에12) 둘러있고 종남산에 장두봉은13) 오백호로다14) 둘러 있고 동적강으로15) 수기를 둘러 제왕숙복이 장국하니16) 만대연황에 지지로구나17) 봉학이18) 넌짓 생겼구나 봉이 머리다 터를 닦고 학을 눌러 대궐 지어 대궐 앞이는 육조로다19) 육조 앞이는 오형문 오형문20) 앞에는 토혁사로다21) 각 도 각 읍을 마련을 헐 때 사바십에22) 남산 보존23) 해동아 잡아라 조선 국이라 경기라 경기도는 삼십칠관이 거주로다 경상도라 칠십일관24) 전라도라 칠십이관25) 충청도 오십삼관26) 공주 같으네 대무관이라27) 이 땅하고도 예산군이라 덕산면 실항리 모씨28) 댁에 들거들랑 작년 같은 해우년은29) 그럭저럭에 다 돌아갔건만 신년 새해로 돌어와서 금년 논농사를 지어 보자 앞 뜰이는 수답이요 뒷 뜰이느네 건답인데 건답 수답 다 다러놓고 베를 다가 심어보자 어떠한 베 심었더냐 해다 졌다 정근베냐30) 많이 먹었다 등티기냐31) 광주 본안에 사발베32) 한갑 진갑에 노인베33) 울긋불긋 대추찰34) 푸드득 푸드득 깨투리35) 찰이냐 벙거지 꼭지에 상모찰36) 어기덕 찌기덕 쟁끼찰37) 논 농사는 지었건만 밭 농사를 다 지어 보자 올콩 졸콩이 청대콩이냐38) 만리타국에39) 강낭콩 이팔청춘 푸르대콩이냐40) 두렁너머 말뚝콩이냐41) 깍지동에 홀아비콩이냐42) 방장 맛다 주년저리43) 아랫가지는 열 가지라44) 우잇가지느네 버들가지45) 오복 조복 열렸구나 그 농사를 걷을라면 집채같으네 남자 종은 황발지게다46) 져들이고 앵무같으네 여자 종은 똥아리47) 받쳐 여뒤릴 적에 어허 인력 못 허겠네 소 한 바리를48) 세워보자 어떠한 소 세웠더냐 우벅뿌리야49) 잡박뿌리50) 홧대 뿌리다51) 사족바리52) 천지각이53) 노구거리54) 바리 바리 실여 디려 앞에두 노적 뒤두 노적 멍해55) 노적이 산 노적56)이라 담불 담불이 쟁였구나 난뒤없느네 부엉덕새 그 노적봉에다 새끼를 쳐서 그 부엉덕새 점점 자라 한 날개를 들어 치면 일 이 만석 쏟어지고 또 한 날개 들어 치면 억 조 만석 쏟어지고 또 한 날개 들어 치면 상남자 바라본다 상남자는 서방님이요 중남자 도련님 하남자 여자아기 그 아기 점점 자라날 적에 서해 바다 물 밀이듯 동해 바다 파도치듯 칠팔월에 오이 호박 붓듯 무릉도화로 자라날 적에 강릉서 호구별성57) 인물 작간이58) 나오시더라 몇 분이나 나오시더냐 쉬흔 세분 나오실 때 쉬흔 분은 뚝 떨어져서 명과 복을 받으러 가고 다먼 삼분 나오실 제 말 잘하는 호반59) 손님 활 잘 쏘는 무관 손님 글 잘하느네 문장 손님 다먼 삼 분 나오실 적에 앞으로 잡어라 열두 바닥60) 뒤로 잡아라 열두 바닥 이십 사 강 건너 올 때에 나무배를 집어타니 나무배느네 썪어지고 돌배를 다 집어타니 돌배 풍덩 가라앉고 흙토산을61) 다 집어타니 흙토산으네 해 떨어지고 장지 배62)를 집어타니 장지 배느네 무여 지고 초록배63) 부석 부셔졌구나 아서라 그 배 못 쓰겠구나 황산64) 쑥 들어가서 연잎 댓잎을 주루루 훑어 연엽산65) 모아 타고 청귀66) 홍귀67) 받으시며 명지 바람에68) 지레 설풍69) 어기덕 지기덕 건너와 저 무슨 댁을 다 당도하야 손님을 다 시켜보자 하루 이틀 보람주어70) 사슬 나흘이 솟을 물71) 닷새 엿새 부를 물72) 이레 여드레 그물 물이라73) 열 사흘만에 배승하니74) 근들 아니 좋을소냐 삼재 액살이 많다 하니 삼재 액살을 풀고 가자 방바닥에는 성주 살이라 홧대75) 밑에는 넝마살 부뚜막에는 주왕살 구락정이는76) 화재 살이라 수채 구녕에 흘린 살 산으로 올라 산신살 들로 내리어 칠용살77) 거리 거리에 노중살 부모지간에 원진살 내외간에 그늘살 형제지간에 우애 살이라 이 살 저 살을 훕쓸어다가 이 고사반에 도액을78) 하니 멀리 멀리 아주 멀리 세멸하니79) 근들 아니 좋을쏘냐 그 애기가 에 칠팔 세가 넌짓 되어 글을 다가 읽혀보자 워떠한 글을 읽었더냐 사육초권에80) 논어 맹자 주역팔괘 읽은 후에 서울서 과거 본다는 말을 듣고 도련님 호사를81) 시켜보자 감태같은82) 채83) 머리를 반달 같은 월용수로84) 어리 설설 내려 빗겨 궁초댕기 서광 물려85) 맵세 있게도 잡어매고 한산 세모시 청도포 자 여들치 통행전이라86) 석자 몇 날 육호백이87) 쌍날 미투리 걷어 신으니 도련님 호사는 되였다만 마부 삼간 쑥 들어가 서산 나귀88) 솔질하여 호피 돋움에89) 안개 돋움90) 주먹 상투91) 덤뿍 풀어 나귀등에 섭적올라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남대문 턱에 당도하니 팔만 장안에 억만 가구라 팔도 선비 다 모였구나 도련님이 춘당대92) 바라보니 강구연월이93) 문당이요94) 두렸이 걸렸구나 시제를 펼쳐놓고 도련님이 용지연에다95) 먹을 갈어 당황모 무심필로96) 반중동97) 흠씬 풀어 일필휘질하야98) 선장하여99) 나드리니 금방에 이름 불러 알선 급제를100) 점제하니 그녀러101) 경사가 하 하 하 항자야 또 있으리야 몸은 학대로다 머리 위에는 어사화요 본댁으로다 나려올 때 칠패102) 팔패 배달이103) 철패104) 동적강을 선듯 근너 천안들어 숙식하여 본댁으로다 나려와서 사당에105) 선신하야106) 사당차리를107) 하여보자 정월이라 들은 홍수108) 이월 한식 막아내고 이월이라에 들은 홍수 삼월 삼진 막어내고 삼월이라에 들은 홍수 사월 초파일 막아내고 사월이라에 들은 홍수 오월 단오 막아내고 오월이라에 들은 홍수 유월 유두로 막아내고 유월이라에 들은 홍수 칠월 칠석 막아내고 칠월이라에 들은 홍수 팔월 한가위 막아내고 팔월이라에 들은 홍수 구월구일로 막아내고 구월이라에 들은 홍수 시월 만월 막아내고 시월이라에 들은 홍수 동짓달 동지로 막아내고 동짓달이라 들은 홍수 섣달 만월 막아내 섣달이라에 들은 홍수 정월 액매기109) 연으로 막아내고 하 하 하 항자야 이 댁 터를 다오 둘러다 보니 아 아아아 항자야 밤이면은 불이 맑고 낮이면은 물이 맑어 불과 물은 수화상극이110) 되여 의사석경에111) 기명112) 바쳐 옥쟁반에 준추 꿀린 듯이113) 세네114) 붓으로 마하항자야 그려 나옵소서 이 댁 터를 다가 둘러다 보니 초가 성주는 쓸 데 없고 와가 성주를 이룩할 적에 태산에 올라서 대목을 내고 소산에 올라 소목을 낼제 금도끼로 찍어내 굽은 나무 곧 다듬고 곧은 나무 곱게 다듬어 이 귀를 꺽어 저 귀를 잇고 저 귀를 꺽어서 이 귀를 잇고 안 중문에115) 밭중문에 내외 중문에 서슬 대문을116) 달어 놓고 행낭차는117) 열 두 줄 이루 접처118) 지여 놓고 네 귀에다 풍경을 달어 동남풍이 건듯 불면 풍경소리가 하하항자야 더욱 좋을시다 하하헤 하 허라레 하하하 허루상에냐 합소사 고대광실 높은 댁을 이루 접쳐 지어놓고 사당 앞에 연못 파고 연못 가운데 삿간산 119)모아 삼간에 삼간 초당 삼간을 지여 놓고 화초 없어 못 쓰겠네 워떤 화초를 심었더냐 외철쭉 진달래 맨드라미나 봉선화 모란에 방초120) 방초 음불 도화는 벽상초라121) 여기 저기 심어놓고 우마 웂어 못 쓰겠네 워떤 우마를 세웠더냐 소를 멕이먼 약대가 되고 말을 멕이먼 용마가 되고 닭을 치면 봉닭이 되고 개를 멕이면 청삽사리 네 눈 배기가 되여 낯선 손님 마다하고 옥담 모팅로122) 돌아가면서 그 개가 커거겅 컹컹컹 짖느네 소리올시다 일년이라 열 두달 과년에 열 석달 삼백예순날에 다 돌어가도 모씨 댁에 들거들랑 웃음으로 연황하고123) 춤으로 대길하기를 하 하 항자야 여기로 당도하나이다 1)고사(告祀). 2)시화연풍 : 세화연풍(歲華連豊), 즉 세월이 연연이 풍년이 들고 좋음. 3)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살기가 편안함. 4)범연(汎年) : ?. 5)환영 : 한양(漢陽). 6)등극(登極) : 임금의 지위에 오름. 7)수지나 지중은 황해수라 : 수지조종(水之祖宗)은 황하수(黃河水)라. 8)산지지중은 골농산이요 : 산지조종(山之祖宗)은 곤륜산(崑崙山)이요. 9)능막 : 뜻모름. 10)기봉(起峰). 11)만년등(萬年) : 마을 이름을 일컷는 듯. 만년등, 만년동이 마을 이름으로 많다. 12)좌우청룡 : 좌청룡(左靑龍). 13)장두봉(長頭峰) : ??? 뜻모름. 14)오백호 : 우백호(右白虎). 15)동적강 : 동작강(銅雀江), 즉 동작동에 가까이 흐르는, 한강의 지류. 16)제왕숙복이장국 : 제왕숙복지장국(諸王熟復之장局)?, 즉 임금이 계속 나올 자리를 일컷는 풍수지리의 형국을 말하는 듯. 17)만대연황이지지 : 만대영화지지(萬代榮華之地). 18)봉학(鳳鶴). 19)육조(六曹) : 의정부아래 국무를 처리하던 여섯 관부. 조선 건국 초부터 있다가 고종 31년에 폐함. 20)오형문 : 오영문(五營門). 21)토혁사 : 흙담으로 능을 빚어 놓은 건물. (확인 할 것). 22)사바십에 : 사바세계(娑婆世界, 즉 인간계. 23)남산보존 : 남선부주(南贍部洲), 즉 염부나무가 무성한 땅이라는 뜻으로 수미사주(須彌四洲)의하나. 인간세계, 현세(現世)의 의미를 가짐. 염부제(閻浮提). 24)경상도라 칠십일관. 25)전라도라 칠십이관. 26)충청도 오십삼관. 27)대무관(大무官) : 큰 고을. 28)모씨(某氏) : 아무개 성씨. 29)해우년(解憂年). 30)정근베 : 벼 종자 이름. 31)등티기 : 뜻 모름. 32)사발벼 : 뜻 모름. 33)노인배 : 노인의 배를 일컷는 듯. 34)대추찰 : 찹쌀을 대추색에 빚대어 붙인 말인 듯. 35)깨투리 차느냐 : 까투리 찹쌀. 36)상모찰 : 상모 찹쌀. 37)쟁끼찰 : 쟁기 찹쌀. 38)청대콩 : 파란 콩. 39)만리타국에 강낭콩 ?. 40)이팔청춘 푸르대콩이냐. 41)두렁너머 말뚝콩이냐. 42)깍지동에 홀아비콩이냐. 43)방장맛다 준년저리 : 뜻모름. 44)아랫가지는 열 가지라. 45)위가지는 버들가지 : 콩이 열어서 버드나무처럼 늘어진 형상을 나타낸 듯. 46)황발지게 : 큰 지게. 47)똥아리 : 또아리. 48)바리 : 말이나 소에 잔뜩 실은 짐을 세는 단위. 49)우뻑뿌리 : 우걱뿔이, 즉 뿔이 안으로 구부러진 소. 50)잡박뿌리 : 자빡뿔이, 즉 뿔의 끝이 뒤틀리고 뒤로 자빠듬하게 생긴 소. 51)홧대 뿌리 : 횃대뿔이, 즉 뿔이 횃대처럼 가로 뻩쳐나가서 일직선이 된 소. 52)사족바리 : 사족(四足) 발. 53)천지각(天地角). 54)노구거리 : 둘이다 안으로 꼬부라졌으나 하나는 높고, 다른 하나는 낮은 쇠뿔. 55)멍해 노적 : 멍에 노적, 즉 멍에처럼 둥그렇게 쌓은 노적. 56)산 노적 : 그냥 수북히 쌓은 노적. 57)호구별성(戶口別星) : 강남으로부터 특별한 사명을 띠고 거의 주)기적으로 찾아와서 두창(痘瘡)을 치르게 한다는 객성(客星). 58)작간 : 약간. 59)호반(戶班) : 戶部 ?. 60)앞으로 잡아라 열 두 바닥 : 바다의 물 때를 따진다는 뜻. 61)흙토산 : 흙토선(土船). 62)장지배 : 종이배. 63)초록배 : 삼 껍질로 만든 배. 겨릅 배. 64)황산 : 뜻 모름. 65)연엽산 : 연엽선(蓮葉船), 즉 연잎과 댓잎은 썩지 않는다고 함. 연잎과 댓잎으로 만든 배. 66)청귀 : 청기(靑氣), 즉 하늘의 기운. 67)홍귀 : 홍기(紅氣), 즉 땅의 기운. 68)명지 바람 : 명주 바람, 즉 보드랍고 화창한 바람. 69)설풍(雪風). 70)보람주어 : 천연두 종기가 조금씩 드러난다는 뜻인 듯. 71솟을 물 : 천연두 종기가 솟아 오른다는 뜻인 듯. 72)부를 물 : 천연두 종기가 가장 많이 솟아 올랐다는 뜻인 듯. 73)그물 물 : 그믐 물?, 즉 천연두 종기가 가장 많이 솟아 오른 뒤 서서히 가라 앉는 것을 뜻하는 듯. 74)열~배승하니 : 열~배송(拜送)하니, 즉 천연두를 앓은 뒤 13일 만에 두신(痘神)을 전송(餞送)하니. 75)홧대 : 횃대. 76)구락정이 : 불 때는 아궁이 입구. 77)칠용살 : 뜻 모름. 78)도액(度厄) : 액막이. 79)세멸 : 소멸. 80)사육초권 : 뜻 모름. 81)호사(豪奢) : 호화롭고 사치함. 82)감태(甘苔)같은 : 김처럼 까맣고 윤이 나는. 83)채 : 머리채와 같은 가늘고 긴 것의 길이를 나타내는 말. 84)월용수 : 동백 기름 같은 것을 말하는 듯. 85)서광 물려 : 매듭지어. 86)통행전(筒行纏) : 아래에 귀가 달리지 아니한 예사 행전. 87)육코백이 쌍날 미투리 : 고급 짚신을 말하는 뜻. 짚신을 만들 때 날은 네 개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두 날을 더해 여섯 날로 꽃신처럼 삼은 짚신을 뜻한다. 88)서산(西産)나귀 : 보통 나귀보다 조금 큰 중국에서 나는 나귀. 89)호피 돋움 :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안장 위의 돋움 방석. 90)안개 돋움 : 뜻 모름. 91)주먹 상투 : 머리를 솎지 않고 쪼아서 주먹같이 크고 모양이 없는 상투. 92)춘당대(春唐臺) :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누대. 조선 왕조 때에 왕실에 경사가 있으면 보이던 춘당대시 같은 과거의 시험장으로 쓰였음. 93)강구연월(康구煙月) : 사통오달한 큰 거리에 흐르는 안온한 풍경. 93)문당이요 : 문장대요?. 94)용지연(龍池硯) : 용의 모습을 새긴 벼루. 95)당황모(唐黃毛) : 중국에서 나는 족제비의 누런 꼬리 털. 붓을 매는 데에 씀. 이것으로 맨 붓이 가장 좋다고 함. 96)무심필(無心筆) : 딴 털로 속을 박지 아니한 털붓. 97)반중동 흠씬 풀어 : 붓의 반 이상에 먹물을 흠씬 먹여. 98)일필휘지(一筆揮之) : 한 번 붓을 들어 막힘이 없이 단 번에 씀. 99)선장(先場 ): 문과 시험장에서 가장 먼저 글장을 바침. 100)알선 급제 : 알성급제(謁聖及第). 101)그녀러 : 그런. 102)칠패(七牌) 팔패(八牌) : 서울시 중구 중림동 부근을 가리키던 행정구역. 패는 요즈음의 통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단위. 103)배다리 :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과 서계동에 걸쳐서 배다릿골이라는 마을이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그곳에 있던 다리의 이름인 듯함. 104)철패→청패(靑牌) : 청파(靑波), 즉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일대를 말하는 듯. 칠패,팔패와 잇달아 섬기느라고 청패로 짐짓 말을 바꾸어 한 말이 철패로 와전된 듯. 청파동에 말을 바꾸어 타는 역이 있었다. 105)사당(祠堂) : 신주를 모셔 놓은 집. 가묘(家廟). 106)선신 : 현신(現身), 즉 지체가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뵘. 107)사당 차리 : 사당 치레. 108)홍수 : 횡수(橫數), 즉 생각지 않던 뜻밖의 운수. 109)액매기 연 : 액막이 연. 110)수화상극(水火相剋). 111)의사석경 : 여산석경(廬山石鏡)인 듯. 석경은 중국 강서성 북부 여산(廬山)의 벼랑에 걸려 있는 둥근 돌을 말하는 데 거울처럼 잘 비친다고 함. 112)기명(器皿)? : 살림에 쓰는 그릇붙이를 말하는 듯. 113)준추 꿀린 듯이 : 뜻 모름. 114)세네 붓 : 뜻 모름. 115)중문(重門 中門) : 대문 안에 거듭 세운 문. 116)서슬 대문 : 솟을 대문, 즉 행랑채의 지붕보다 높이 솟게 만든 대문. 117)행낭차 : 행랑채. 118)접처 : 겹쳐. 119)삿간산 : 뜻 모름. 120)방초(芳草) : 꽃다운 풀. 121)음불 도화는 벽상초라 : 꽃이 핀 모습이 한 폭의 그림 같다는 뜻?. 122)모로 : 모퉁이로. 123)연황 : 연한(燕閒), 즉 아무 근심이 없고 몸과 마음이 한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