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산군 삽교읍 두2리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긍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긍원 |
지역개관 | 예산은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공주군, 서쪽은 서산군, 남쪽은 홍성군과 청양군, 북쪽은 당진군, 아산군과 접하고 있다. 군의 동부와 서부는 차령산맥과 가야산이 뻗어 있어 산지를 이룬다. 이 두 산맥 사이를 삽교천과 무한천이 흐르고, 큰 저수지로는 광시․대흥․응봉면에 걸쳐 있는 예당저수지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3일에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두2리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긍원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어리 허얼씨구씨구 들어간다
저헐씨구씨구 나오신다 천지에 장마나 허지 만물이 청산에 들오신다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찌리고 찌리고 잘이 헌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 죽지도 않고 또 왔네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앉은 고리는 통고리고1) 뛰는 고리는 개고리로다 달린 고리는 문고리고 날으는 고리는 꾀꼬리다 입는 고리는 저고릴세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냉수동이나 먹었는디 시원하게도 넘어가고 나물동이나 먹었는디 걸찍 걸찍 걸찍 걸찍 넘어간다 지름동이나 먹었는디 미낀 미낀히 넘어간다 여름바지는 홑바지 겨울바지는 합바지고 가을바지는 겹바지 시아버지 바지는 당고바지고 시어머니 바지는 몸빼바지 시동생 바지는 통바지고 시누이 바지는 나팔바지 우리아기 바지는 촛대바지고 우리남편 바지는 일자바질세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일자 한자나 들고보니 일선에 가신 우리낭군 언제 오실려나 기다리네 두 이자 들고 봐 일월이 송송이 해송송 석 삼자나 들고 보니 삼삼하게도 논다요 사자나 들고 보니 사주팔자가 기박해서 다섯 오자나 들고 보니 오륜삼강을 찾으시네 여섯 육자를 들고 보니 육간 대청에 무릎 꿇고 일곱 칠자나 들고 보니 칠성단에 절하네 팔자나 들고 보니 사주 팔자가 기박해서 아홉 구자나 들고 보니 국화꽃이 만발한데 장자 한자나 들고 보니 이 장 저 장에 댕겨볼까 어리어리 씨구씨구 잘이헌다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일일 장은 홍등장이고 이일 장은 삽교장이고 삼일 장은 대천장이고 사일 장은 광천장일세 오일 장은 예산장이고 육일 장은 합덕장일세 칠일 장은 서산장이고 팔일 장은 천안장일세 구일 장은 온양장이고 십일 장은 당진장일세 품바나 하고도나 잘이헌다 1)통고리: 동고리. 둥그런 대바구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