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약장수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상업노동요 > 호객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예산군 삽교읍 두2리의 약장수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긍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긍원 |
지역개관 | 예산은 충청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공주군, 서쪽은 서산군, 남쪽은 홍성군과 청양군, 북쪽은 당진군, 아산군과 접하고 있다. 군의 동부와 서부는 차령산맥과 가야산이 뻗어 있어 산지를 이룬다. 이 두 산맥 사이를 삽교천과 무한천이 흐르고, 큰 저수지로는 광시․대흥․응봉면에 걸쳐 있는 예당저수지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3일에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두2리에서 채집한 약장수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긍원이 참여하였다. |
가사 | ( “자- 약이 왔습니다"" )
( 쇠,북가락 ) ( ""자 약 사세요 오늘 여기 갖고 온 약은 무슨 약이냐 하먼 머리끝서부터 발끝까지 발르면 잘 낫는 약입니다. 어- 그러니 여러분들이 한 번 보셔갔고 약을 사가시랍니다 잘 보세요“) 머리 나는 두종 이마 나는 상종 눈에 나는 안질 입에 나는 부종 얼굴에 나는 면종 코에 나는 비종 목에 나는 한종 등에 나는 등창 어깨 나는 견종 배에 나는 복종 돌안에 나는 산종 똥구녕 나는 치질 발르면 낫고 안 발르면 안 낫는거 물에 데고 불에 데고 발르면 잘 낫는것 ( “오늘 여기서 나왔습니다. 이러니 만큼 요것이 이렇게 좋으며는 사실적에 요거 하나 사시자며는 시중가로다가 지금 멫 천원씩주고 사야지만 여기선 단돈 십원 한장 받두 않구서 여러분께 같이 노놔드리겠습니다. 한 번 잘 보십시오.” ) ( 쇠,북가락- “잘 나간다” “어차-” - 쇠북가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