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천안군 직산면 삼은리 자은뱅이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종성 |
지역개관 | 자은뱅이, 자은방리라고 불리는 마을로 120호 되던 마을이 6리와 나누어지면서 현재 70여 호가 산다 벼농사, 밭농사를 위주로 하며 거봉 포도의 주산지이기도 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에 충청남도 천안군 직산면 삼은리 자은뱅이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아시,이듬을 호미로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만물소리는 하지 않았다. |
가사 | 올라를 가세
올러를 가세 이 논배미를 다 맸으면 올러를 가세 저 논배미로 올랄가세 올러를 가세 우리가 짓는 이 농사는 올러를 가세 천하에서두 제일이라 올러를 가세 여보시오 농부들아 올러를 가세 이내 말을 들어보아요 올러를 가세 이 농사를 지여내여 올러를 가세 부모 봉양 아니하고 올러를 가세 하륙처자1) 아니할까 올러를 가세 세마지기 논배미가 올러를 가세 반달만큼 남었구나 올러를 가세 실농씨2) 내신 농법 올러를 가세 천처만대 유전하니3) 올러를 가세 농사 밖에 또 있느냐 올러를 가세 올 농사는 잘두 되어 올러를 가세 삼배출로만4) 나겠구나 올러를 가세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가 얼카덩이야 얼카덩이다 얼카덩이야 빨리 빨리 얼카덩이야 땀두 나고 얼카덩이야 힘도 드누나 얼카덩이야 부지런 부지런 얼카덩이야 빨리 나가서 얼카덩이야 새참도 먹고 얼카덩이야 막걸리 먹고 얼카덩이야 그늘에 쉬었다 얼카덩이야 석양판에 얼카덩이야 힘을 내어 얼카덩이야 긁어를 댑시다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얼카덩이야 1)하륙처자(下育妻子): 처자식을 부양하여 기름. 2)실농씨-> 신농씨(神農氏): 중국의 전설적인 황제로 농사법을 백성에게 가르쳤다고 함. 3)천처만대 유전하니-> 천추만대(千秋萬代) 유전(流傳)하니: 오랜 세월 동안 전해 내려오니. 4)삼배출: 한마지기 논에서 세가마니의 벼를 수확하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