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천안도삼거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천안군 직산면 삼은리 자은뱅이의 천안도삼거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종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종성 |
지역개관 | 자은뱅이, 자은방리라고 불리는 마을로 120호 되던 마을이 6리와 나누어지면서 현재 70여 호가 산다 벼농사, 밭농사를 위주로 하며 거봉 포도의 주산지이기도 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8월에 충청남도 천안군 직산면 삼은리 자은뱅이에서 채집한 천안도삼거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종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천안도 삼거리 능수나 버들은 음
제멋에 겨워서 축 늘어졌구나 무정 세월아 오고 가지 말어라 음 아까운 내 청춘 다 늙어 가노라 날 다렬가거라 날 모셜가거라 음 한양낭군아 날 모셔가거라 적막빈방에 외로운 이 몸이 음 누구를 바라고 산단 말인가 세상 만사를 생각을 하며는 음 부귀영화가 꿈이로구나 공산 자귀는 무심히 울어도 음 그리운 회포는 저절로 나누나 은하작교가 콱 무너졌으니 음 건너 갈 길이 막연히로구나 개변양요가1) 사사록인데 음 그 버들 가지가 유색신이로다2) 오동추야 에 달이 동동 밝은데 음 임에 동동 생각이 새로 동동 나누나 야속하고도 야속도 하구나 음 청춘가는데 야속도 하고나 우리님 동창에 달이 비치면 음 상사 불견에 잠 못 자리라 쳐다나보느냐 임 계신데 음 명기를 빌려나 나도 보리라 1)개변양요: 갱변양류, 즉 강변의 양류(楊柳). 강변의 버드나무. 2)유색신(惟色新): 오직 색이 새롭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