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궁글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천안군 풍세면 남관리 잔다리의 논매는소리-궁글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순창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홍순창 |
지역개관 | 잔다리마을은 아산시 배방면 세교리와 길을 경계로 행정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논농사와 젖소를 많이 키운다. 30가구가 사는 천안 전씨(全氏) 세거지 였는데, 현재는 타성과 반반 산다. 마을 입구에 서낭당과 장승이 있었으나, 장승은 어느 머슴이 쇠죽을 끓이기 위해 뽑아다 땔감으로 없앴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에는 남녀노소가 모여 줄다리기를 하였고, 집 대문에 노적가래를 세웠으며, 샘제를 지냈다. 노적가래는 2월 1일날 내렸고, 샘을 품어 내고 제사를 지내면 아들을 낳게 해준다고 믿었다. 음력 6월 말경 만물을 끝낸 뒤 백중날에는 길 닦고, 국수 해먹고 놀았는데, 이후 길이 포장되어 길 닦이는 하지 않고 놀기만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3일에 충청남도 천안군 풍세면 남관리 잔다리에서 채집한 궁글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순창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아시,이듬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궁글레는 흙덩이를 굴린다는 뜻이다. 아시는 호미로 골을 파고, 이듬은 골을 파서 높고 낮은 논바닥을 호미로 고르게 한다. 세벌은 손으로 풀난 것을 움켜쥐고 뜯어서 논에다 밟아 묻으며, 어헐럴 상사디요나 아하하 헤헤루아 좋을시고소리를 한다. |
가사 | 어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여보 농부님 말 들으소 여기여차 궁글레 이 논배미 언릉 매고 여기여차 궁글레 장고배미로 건너갈제 여기여차 궁글레 막걸리 한사발 쑥 마시고 여기여차 궁글레 마당배미루1) 건너가세 여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히틀배틀 봄배차는 여기여차 궁글레 찬이실 오기를 기다리고 여기여차 궁글레 옥에 갇힌 춘향이는 여기여차 궁글레 이도령 오기를 기다린다 여기여차 궁글레 어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이팔 청춘 소년들아 여기여차 궁글레 백발 보구서 웃지마라 여기여차 궁글레 우리도 엊그제는 여기여차 궁글레 청춘이야 놀던마는 여기여차 궁글레 오늘날와 당하고 보니 여기여차 궁글레 백발이 다 되어 섧구본다 여기여차 궁글레 어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이 산 저 산 낙엽위에 여기여차 궁글레 구시월에 당도허니 여기여차 궁글레 이산이 저산 천태봉에 여기여차 궁글레 가랑잎이 펄펄 날려 댕겨 여기여차 궁글레 어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어기여차 궁글레 여기여차 궁글레 1)마당배미: 하수도 끄트머리 쯤에 동네 텃물을 받아서 짓는 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