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질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천안군 풍세면 남관리 잔다리의 말질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순창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홍순창 |
지역개관 | 잔다리마을은 아산시 배방면 세교리와 길을 경계로 행정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논농사와 젖소를 많이 키운다. 30가구가 사는 천안 전씨(全氏) 세거지 였는데, 현재는 타성과 반반 산다. 마을 입구에 서낭당과 장승이 있었으나, 장승은 어느 머슴이 쇠죽을 끓이기 위해 뽑아다 땔감으로 없앴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에는 남녀노소가 모여 줄다리기를 하였고, 집 대문에 노적가래를 세웠으며, 샘제를 지냈다. 노적가래는 2월 1일날 내렸고, 샘을 품어 내고 제사를 지내면 아들을 낳게 해준다고 믿었다. 음력 6월 말경 만물을 끝낸 뒤 백중날에는 길 닦고, 국수 해먹고 놀았는데, 이후 길이 포장되어 길 닦이는 하지 않고 놀기만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23일에 충청남도 천안군 풍세면 남관리 잔다리에서 채집한 말질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순창이 참여하였다. 가을 수확을 위한 모든 일이 끝나고, 벼를 저장하기 위해 섬이나 가마니에 담아 광에다 넣는다. 벼를 말로 “하나, 둘”되면서 하는 소리이다. 추수의 기쁨에 더해 농사의 결과를 기다리는 설렘이 담겨 있는 노래이다. 말을 몸에 품듯이 놓고 벼를 담는다. |
가사 | 하나
둘 셋 넷 다섯채 넘어간다 여섯 일곱 여덟하고도 하나 하면 아홉 아홉 하나 중에 열 남었다 열 열이 하나 열 둘 열이에 셋이로구나 셋이면 한 잔 먹고 품어 보자 하나 넷 넷하고 다섯이에 다섯인디 여섯 여서 일곱 일곱 품었다 여덟 여덟이면 또 아홉 아홉이면 에 또 시물이라 아 시물하나 에 여기 자체 둘 둘이면 여기도 셋 셋인데 넷채 넘어간다 막걸리 한 잔 먹구 다섯 여기도 여섯 여섯이면 일곱 일곱에 여덜 여덜하고도 열하 시물 아홉 여기 삼십이라 에 한 잔 더 먹자 삼십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