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푸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천안시 구룡3동의 물푸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종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종태 |
지역개관 | 구룡동(九龍洞)은 천안군 풍세면이었다가 83년도에 천안시로 병합되었다. 용이 아홉 마리가 있는 형세라 하여 구룡리라고 한다. 60호 정도 살고 있고 논농사 위주이다. 천안시로 편입되면서 젊은 사람들은 마을을 다 떠났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9월 25일에 충청남도 천안시 구룡3동에서 채집한 물푸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종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날이 가물거나 마른갈이하는 논에 맏두레로 물을 퍼 올리면서 하는 소리이다. 이 지역은 물이 많이 없었다고 한다. 맏두레를 두명이 마주 잡고 물을 푼다. 밤새워 물을 푸기도 했다고 한다. 단순하고 지루한 물푸는 과정에 소리를 하면서 호흡도 맞추며 단조로움을 피했다. |
가사 | 어려 오-베 물 넘어간다
철썩 이 물을 품어 어디로 가나 철썩 우리 농토로 들어가나 철썩 우리 농토로 들어가면 철썩 대천 바대가 될라는가 철썩 한강수가 될라는가 철썩 어려 오베 철썩 바람 불구 비올 줄 알면 철썩 빨래질을 왜 가는고 철썩 동남풍이 비를 주나 철썩 서북풍이 비를 줄나 철썩 어려 오베 철썩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철썩 임이 동창 비친 달아 철썩 달은 밝고 명랑한데 철썩 단봇짐이 웬말인고 철썩 은하 작교 콱 무너졌으니 철썩 건너 갈 길 망연쿠나 철썩 푸릇푸릇 봄배차는 철썩 찬 이슬 오기를 기다리고 철썩 옥중에 갇힌 춘향이는 철썩 이도령 오길 기다린다 철썩 백척 폭포 급한 물은 철썩 은하수를 기울은 듯 철썩 우리 농군님네들은 철썩 막걸리 한 잔 생각난다 철썩 어려 오베 철썩 닭아 닭아 우지 마소 철썩 날이 새면 내가 죽고 철썩 안맹하신1) 우리 부친 철썩 나 찾느라 애통한다 철썩 어려 오베 철썩 인생일장 춘몽이요 철썩 아니 놀고 무엇할꼬 철썩 나는 가네 나는 가네 철썩 물 품기 싫어 나는 가네 철썩 나 간다고 설워 말고 철썩 통간님네2) 힘차게 품게 철썩 어려 오베 철썩 말은 가자 네굽 치고 철썩 임은 자꾸 아니 놓으니 철썩 어려 오베 철썩 임아 임아 정든 님아 철썩 나 가는 것 잡질 말고 철썩 지는 해를 멈추어라 철썩 어려 오베 철썩 1)안맹(眼盲) 2)통간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