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진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진영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는 군의 제일 남단에 위치하여 부여군과 접하고 있으며, 부소산 천정대가 마을의 앞에 펼쳐져 있다. 마을 앞에 있는 내가, 둑을 막기 전까지는 비가 많이 오면 넘쳐흘러 해대(海臺) 또는 바라터(바다터)라고 한다. 61년 제방을 막고 갈대밭을 개간하여 논을 만들었기에 오늘날 청양군에서 쌀이 제일 많이 생산한다고 하며 특용작물로 뻘 수박을 많이 재배하여 수입을 올리고 있다. 118호에 402명이 살고, 한씨․전씨․윤씨가 많이 산다. 음력 정월 14일은 노신제를 지냈으며, 두레는 규모나 체계면에 있어서 다른 마을 보다 훨씬 크게 벌어진 마을이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9일에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진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청양, 공주, 논산, 부여 일부지역의 못방구를 치면서 부르는 모심는 소리이다. |
가사 | 호 호오호오 오하아 헤헤
에헤에 아하라 상-허-어디요 호 호 호오아아앙 아헤 헤헤라아라 상허디요 천하지대본은 농사밖이 또 있느냐 헤- 호 호 호오아아앙 아헤 헤헤라아라 상허디요 세월아 봄철아 오거들랑은 가지를 마라 호 호 호오아아앙 아헤 헤헤라아라 상허디요 덧없이 갈랴거든 청춘은 두고가라 에 호 호 호오아아앙 아헤 에헤라아라 상허디요 저번 갈제 이 번 오고 이번 올제 백발오네 호 호 호오아아앙 아헤 에헤라아라 상허디요 어하 어어하 상사디요 어하 어하 상사디여 상사 소리가 나거들랑 어하 어하 상사디여 쏘삭 쏘삭 심어를 내세 어하 어하 상사디여 오늘 해도 다 넘어갔네 어하 어하 상사디여 골골마다 연기만 난다 어하 어하 상사디여 어럴럴럴럴 상사디요 어하 어하 상사디여 이팔 청춘 소년들아 어하 어하 상사디여 백발 보고 웃지를 마라 어하 어하 상사디여 오늘 청춘 내일은 백발 어하 어하 상사디여 그 아니 가련헌가 어하 어하 상사디여 어럴럴럴럴 상사디요 어하 어하 상사디여 일락 서산에 해는 지고 어하 어하 상사디여 월출 동녘에 저 달이 솟네 어하 어하 상사디여 나부야 나부야 청산을 가자 어하 어하 상사디여 호랑나부도 같이나 가세 어하 어하 상사디여 오하 오하 상사디요 어하 어하 상사디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