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벼떠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의 벼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진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진영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는 군의 제일 남단에 위치하여 부여군과 접하고 있으며, 부소산 천정대가 마을의 앞에 펼쳐져 있다. 마을 앞에 있는 내가, 둑을 막기 전까지는 비가 많이 오면 넘쳐흘러 해대(海臺) 또는 바라터(바다터)라고 한다. 61년 제방을 막고 갈대밭을 개간하여 논을 만들었기에 오늘날 청양군에서 쌀이 제일 많이 생산한다고 하며 특용작물로 뻘 수박을 많이 재배하여 수입을 올리고 있다. 118호에 402명이 살고, 한씨․전씨․윤씨가 많이 산다. 음력 정월 14일은 노신제를 지냈으며, 두레는 규모나 체계면에 있어서 다른 마을 보다 훨씬 크게 벌어진 마을이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9일에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에서 채집한 벼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진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벼 타작소리는 기본적으로 메기고 받는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마지막 구절 어어헤 허어헤야 허어디여 나하헤는 제창형식으로 부른다. ~나하헤를 하면서 다 털어낸 볏단을 뒤로 던진다. |
가사 |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오늘 저녁 에야-헤 여기서 놀고 에야-헤 내얄 저녁 헤야 허어-헤 허어-에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이팔청춘 에야-헤 소년들아 에야-헤 백발 보고 헤야 허어헤 허어어헤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아헤 에야-헤 우리가 살며는 에야-헤 몇백년 사나 에야-헤 살아생전에 헤야 허어에 허어헤야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사람이 살며는 에야-헤 몇백년 사나 에야-헤 한 낯이 살면 헤야 헤야에 허어헤야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건곤에1) 에야-헤 유하여 에야-헤 남녀를 헤에야 허어헤 허어어헤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일년 삼백 에야-헤 육십일은 에야-헤 춘하추동 헤야 허허헤 허어어헤 허어디여 나하헤 왔나 왔네 아하헤 에야-헤 꽃이 피고 에야-헤 잎이 푸르면 에야-헤 화조월석2) 헤야 허어헤 허어어헤 허어디여 나하헤 1)건곤(乾坤): 하늘과 땅. 2)화조월석(花朝月夕): 아침에 꽃, 저녁에 달을 보고 즐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