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진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진영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는 군의 제일 남단에 위치하여 부여군과 접하고 있으며, 부소산 천정대가 마을의 앞에 펼쳐져 있다. 마을 앞에 있는 내가, 둑을 막기 전까지는 비가 많이 오면 넘쳐흘러 해대(海臺) 또는 바라터(바다터)라고 한다. 61년 제방을 막고 갈대밭을 개간하여 논을 만들었기에 오늘날 청양군에서 쌀이 제일 많이 생산한다고 하며 특용작물로 뻘 수박을 많이 재배하여 수입을 올리고 있다. 118호에 402명이 살고, 한씨․전씨․윤씨가 많이 산다. 음력 정월 14일은 노신제를 지냈으며, 두레는 규모나 체계면에 있어서 다른 마을 보다 훨씬 크게 벌어진 마을이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9일에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인량리 바라터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진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우여라싸하
우여라 차하 번쩍 들었다 우여라 차하 쿵쿵 놉시다 우여라 차하 어기디여차 디여차 우여라 차하 일년을 가고 우여라 차하 정월이 오며는 우여라 차하 사람마다 우여라 차하 희망이라 우여라 차하 이월이라 우여라 차하 춘매작작1) 우여라 차하 삼월이라 어여라 차하 삼짓날은 어여라 차하 강남 갔던 어여라 차하 제비가 와서 어여라 차하 사람보고 어여라 차하 반기는 듯 어여라 차하 사월이라 어여라 차하 녹음방초2) 어여라 차하 오월단오 어여라 차하 유월유두 어여라 차하 칠월이라 어여라 차하 칠석날은 어여라 차하 견우직녀가 어여라 차하 상봉하고 어여라 차하 팔월추석 어여라 차하 둥근 날은 어여라 차하 일년 중 어여라 차하 제일이라 어여라 차하 구시월이 되었으니 어여라 차하 황국단풍3) 추절이라4) 어여라 차하 달 가고 또 달 가면 어여라 차하 백설이 휘날리고 어여라 차하 어기여차 디여차 어여라 차하 우여라싸하 어여라 차하 어기차 히여차 어여라 차하 일년삼백 어여라 차하 육십일은 어여라 차하 춘하추동 어여라 차하 사시절이라 어여라 차하 꽃이 피고 잎 푸르면 어여라 차하 화조월석 춘절이요 어여라 차하 금풍이5) 소슬하면6) 어여라 차하 천산에 추기절이요7) 어여라 차하 어기여차 디여차 어여라 차하 우여라 차하 어여라 차하 1)춘매작작(春梅灼灼): 봄매화꽃이 활짝 핌. 2)녹음방초(綠陰芳草): 우거진 나무그늘과 꽃다운 풀. 3)황국단풍(黃菊丹楓): 노란 국화와 단풍. 4)추절(秋節): 가을. 5)금풍(金風): 가을의 선선한 기운을 띤 바람. 6)소슬(蕭瑟): 가을 바람이 으스스하고 쓸쓸함. 7)천산(千山)에 추기절(秋期節): 모든 산에 가을이 오다. |